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향
효험
효능
결과
효력
작용
가치
d라이브러리
"
효과
"(으)로 총 6,539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파 송송, 계란 탁. 보글보글 끓는 라면에 계란은 빠질 수 없는 감초죠. 프라이팬에 기름을 둘러 익힌 계란 프라이는 밥과 함께 비벼먹어도 좋고, 바삭하게 ... 결정의 핵이 형성되는 과정 등 상변화 현상을 물리적으로 조작하는 데 마요네즈
효과
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Issue] 미백 화장품으로 하얀 피부 만들 수 있나요?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고등학교 1학년 아이를 키우는 부모입니다. 아이가 야외에서 운동하기를 좋아해 까무잡잡한 편인데, 추운 겨울이 지나고 날이 풀려서 그런지 미백 화장품을 쓰 ... 균일한 차단막을 형성하기 때문이죠. 찐득찐득해서 바르면 불쾌한 자외선차단제가 차단
효과
는 더 높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힘으로 쉽게 들어올릴 수 있는 도르래처럼, 분자 도르래 역시 축 분자에 가해지는 힘을
효과
적으로 낮춰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최근 필자가 속한 최장욱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팀에서는 주로 전기자동차의 전지로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에 분자 도르래를 적용해 ... ...
Part 4. 중국 탓에 심해졌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전문가들은 미세먼지의 주범이 중국이라는 주장이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고 지적한다. 배귀남 미세먼지 국가전략프로젝트 사업단장은 “중국발 미세먼지는 수km 고도에서 계절 편서풍 ... 주범이다?Part 4. 중국 탓에 심해졌다?Part 5. 서울이 가장 심하다?Part 6. 일반 마스크도
효과
있다 ... ...
[매스미디어] 도시어부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물고기 무리가 클수록 오래 걸린다고 가정했지요. 연구팀은 정보 공유가 어떤
효과
를 불러 오는지 알아보기 위해 낚시꾼을 추가로 배치했습니다. 한 낚시꾼이 물고기를 낚으면 주변 낚시꾼이 달려오도록 설정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 결과를 비교한 겁니다. 고독한 낚시꾼은 대구밖에 ... ...
Part 1. 과학을 완성한 수학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물체의 운동을 표현하고 예측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이런 생각이 물체의 운동을
효과
적으로 나타내는 미적분학을 만들었고, 이는 물리학이 수학을 언어로 하는 체계적인 학문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됐지요. 18세기 프랑스 화학자 앙투안 라부아지에는 화학 역시 체계적인 학문으로 만들 수 있다고 ... ...
[과학뉴스] 슈퍼박테리아 잡을 ‘오리너구리 모유’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발견했다. 줄리 샤프 디킨대 선임연구원은 “MLP가 슈퍼박테리아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
가 있었다”며 “오리너구리가 모유를 먹이는 독특한 방식 덕분에 특이한 항균 능력을 가진 단백질이 발견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10.1107/S2053230X1701770 ... ...
Part 2. 중금속, 발암물질이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미세먼지 공포’는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칠 영향에 대한 두려움에서 생겨났다. 미세먼지는 ‘매우 작게 부서진 중금속 가루’여서 인체에 유해한 발암물질로 분류된다는 것이 일반적 ... 주범이다?Part 4. 중국 탓에 심해졌다?Part 5. 서울이 가장 심하다?Part 6. 일반 마스크도
효과
있다 ... ...
움직임을 지배하는 운동의 법칙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시스템은 많은 학생들이 막연하게 어려워 하는 물리 영역이다. 역학적 시스템을 조금 더
효과
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우선 몇 가지 정의와 법칙부터 정리해보자. 힘의 3요소와 운동의 법칙역학적 시스템이란 무엇일까. 역학적 시스템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힘이 작용하고 힘에 따라 물체의 운동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게팅 오버 잇 위드 베넷 포디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인간의 능력을 저는 원망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항아리 게임이 이런 특성을 활용해
효과
적으로 스트레스를 주거든요. 게임의 주인공은 항아리에 몸이 단단히 낀 남자입니다. 걸을 수 없으니 망치로 땅을 찧은 뒤 몸을 띄워 앞으로 나아갑니다. 목표는 가파르게 쌓인 탑의 꼭대기까지 가는 것. 바로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