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프로젝트"(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사람과 과학을 위한 공헌 실험동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전체의 91% 이상을 차지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실험동물 입양 프로젝트Part 1. 사람과 과학을 위한 공헌 실험동물Part 2. 동물실험이 필요한 이유Part 3. 동물실험의 문제점Part 4. 동물실험 안 할 순 없을까?Part 5. 실험동물에게 새 ... ...
- Part 4. 동물실험 안 할 순 없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있는 투명하고 혈관이 없는 조직.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실험동물 입양 프로젝트Part 1. 사람과 과학을 위한 공헌 실험동물Part 2. 동물실험이 필요한 이유Part 3. 동물실험의 문제점Part 4. 동물실험 안 할 순 없을까?Part 5. 실험동물에게 새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검출기가 만들어지면 인류는 우주를 더욱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는 눈을 갖게된다. 라이고 프로젝트에 재정을 지원한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프랜스 코르도바 이사장은 기자회견을 시작하며 “이제 새로운 창문이 열렸다”고 말했다. 과연 중력으로 본 우주는 어떤 모습일까. 또 앞으로 어떤 놀라운 ... ...
- Part 2. 동물실험이 필요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60%의 유사도를 갖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실험동물 입양 프로젝트Part 1. 사람과 과학을 위한 공헌 실험동물Part 2. 동물실험이 필요한 이유Part 3. 동물실험의 문제점Part 4. 동물실험 안 할 순 없을까?Part 5. 실험동물에게 새 ... ...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게 목표다.탐사 여섯 번째 날, 태국 탐사대는 반 종 대표와 지역 학생들과 함께 해초 심기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해변으로부터 약 200m 정도 떨어진 갯벌로 나가 구역을 정했다. 그리고 서로 한 뼘 정도 떨어지게끔 6×6 대열로 모종을 심었다. 삽으로 갯벌을 살짝 들춰 모종을 꽂는 식이었다.이날 심은 ... ...
- 프로젝트 2 물가는 얼마나 오를까?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찍어내는 기관이기도 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뱃돈 사수하기 프로젝트프로젝트 1 저축하면 얼마나 이익일까?프로젝트 2 물가는 얼마나 오를까?프로젝트 3 결전의 순간! 부모님을 설득하라 ... ...
-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한몫했기 때문이다. 저자는 2012년부터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시민참여과학 프로젝트인 ‘지구사랑탐사대’ 대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 여정에 함께 해보는 건 어떨까(goo.gl/w3Tqa6 참고).달콤새콤, 수학 한 입팀 샤르티에 지음 | 김수환 옮김 | 프리렉 | 224쪽 | 1만5000원어린 시절 여행에 오를 때면 ...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지나며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었는데, 기다리던 궤도에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다. 당시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동료의 말에 따르면 이 순간은 일본 열도 전체에 생방송으로 중계되고 있었는데, 방송 기자들과 방송을 보던 전국민이 일대 혼란에 빠졌다고 한다. 일본의 첫 행성탐사선을 성공시킬 ... ...
- 프로젝트 3 결전의 순간! 부모님을 설득하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생각하니 뭔가 뿌듯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뱃돈 사수하기 프로젝트프로젝트 1 저축하면 얼마나 이익일까?프로젝트 2 물가는 얼마나 오를까?프로젝트 3 결전의 순간! 부모님을 설득하라!도움 : 원유훤(삼성증권 부천WM지점 지점장), 유승동(상명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최문박(LG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데 성공했다.예를 들어, 호주는 1965년 처음으로 원심분리기 개발에 도전했다. 이 프로젝트는 처음엔 세 명에서 시작했고, 가장 사람이 많을 때도 여섯 명을 넘기지 않았다. 연구에 참여했던 사람 중 이전에 방사성 동위원소 분리법을 연구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럼에도 5년 안에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