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역"(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산불이 지나간 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다양해졌네요?복원 전, 주민이나 산 주인과 협의해 어떤 나무를 심을지 결정해요. 일부 지역에서는 토양의 환경이나 기후가 맞지 않아 나무가 잘 자랄지 걱정이에요. 편백나무는 습기가 많은 북사면에 잘 자라는데, 하루종일 햇빛이 들어오는 남사면에 심어진 곳도 있거든요. 건조하고 뜨거운 곳에선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인이 된 의사 로버트 써스크(Robert Thirsk)과학동아 l2019년 09호
- 39도까지만 볼 수 있었다. 캐나다의 최남단이 북위 42도임을 고려하면 캐나다 대부분의 지역을 볼 수 없었다. 이런 아쉬움은 두 번째 비행에서 완전히 날릴 수 있었다. 그는 2009년 6개월간 ISS에 체류하며 캐나다를 마음껏 내려다볼 수 있었고 사진도 수십 장 찍었다. “조국을 내려다보는 일은 결코 ... ...
- [포토뉴스] 자연재해를 설명하는 수학 법칙 발견!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코랄 책임연구원은 “이 연구를 활용하면 세계 각 지역의 역사적인 기록을 토대로 해당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도 평가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지구 및 우주과학’ 6월 10일자에 게재됐습니다. ... ...
-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보면 알 수 있는데, 이산화탄소와 더불어 온실가스 중 하나인 수증기가 부족한 건조지역의 기후는 생명체가 살아가기에는 가혹한 환경이다. 식물의 광합성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산화탄소가 지나치게 줄어들면 숲과 농사에 심각한 어려움이 발생한다. 맹목적인 저탄소, 탈탄소는 오히려 인류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암석에 새겨진 한반도 지각의 역사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이는 과거의 변화를 더욱 충분히 파악할 수 있게 됐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지질시대별 지구조 운동 모델을 찾고 이를 조합해 전체적으로 조명한다면, 예측이 가능할지도 모릅니다. 먼저 암석 분석, 파형 분석 등을 종합해 선캄브리아기부터 신생대까지 한반도 지각이 ... ...
- [과학뉴스]대서양에 나타난 8850km 해조류 벨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급격하게 증가한 2011년보다도 10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후 교수는 “겨울철 서아프리카 지역의 심해수 용승 작용이 활발해지면서 대서양에 영양분이 많이 공급돼 해조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며 “남미의 삼림 벌채와 비료 사용량 증가 또한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doi:10.1126/science.aaw791 ...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모기 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는 7월 1~7일 과학동아 페이스북과 과학동아 정기구독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유전자 변형(GM) ... 대화할 수 있도록 지역 주민들로 이뤄진 팀을 만들었고, GM 모기의 경과를 볼 수 있는 지역 사회 주도의 모니터링 팀도 따로 구성했다”고 밝혔다 ... ...
- 사람이 지진을 일으킬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셰일 가스를 채취하다가 규모 4.9의 지진이 발생하는가 하면 2006년 12월에는 스위스 바젤 지역에서 지열발전을 위해 지하로 물을 주입하던 중 규모 3.4의 지진이 일어나기도 했답니다. 이처럼 땅을 깊이 파는 셰일 가스 굴착 현장, 지열발전소 등 사람의 활동으로도 지진이 충분히 발생할 수 있지요. ... ...
- 포항이 본래 불안정했다고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규모 5.8의 지진이 포항 지진에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도 있어요. 두 지진 때문에 포항 지역의 땅이 약해질 대로 약해져 있었다는 거예요.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홍태경 교수는 이 두 지진이 포항 지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했어요. 먼저 동일본대지진 이후 한국 지각이 어느 정도 움직였는지 ... ...
- 개미왕국 거대한 가족, 초군체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대륙을 평정한 아르헨티나개미안양에서 발견된 수천만 마리의 왕개미는 5만 6309m2의 넓은 지역에서 살아가고 있었어요. 하지만 더 큰 가족을 이루고 사는 개미도 있어요. 바로 아르헨티나개미예요. 아르헨티나개미는 남극 대륙을 제외한 세계 곳곳에서 한가족을 이루며 살아가고 있어요. 다른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