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합
총괄
통일
포괄
총람
융합
토탈
d라이브러리
"
종합
"(으)로 총 2,160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물고기 호텔, 바다목장이 양식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조성 사업이 시작됐다. 통영은 어업과 수산물 가공을 포함한 수산업의 여러 분야가 가장
종합
적으로 모여있는 곳이기도 하다. 실무와 연구는 한국해양연구원이 주관하고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수산개발원과 여러 대학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다.좁고 그늘진 집 좋아하는 우럭바다목장을 조성하려면 ... ...
당신의 주름살은 햇빛의 작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의대 피부과학교실이 지난 5년간 태평양 기술연구원과 공동으로 한국인의 광노화에 대한
종합
적인 연구를 수행한 것. 이 연구는 태평양에서 10억원을 투자해 이뤄졌다. 태평양 기술연구원 피부과학연구소 장이섭 소장은 “외국회사와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한국인의 피부를 연구해보자는 ... ...
마린 테크놀로지로 '마린토피아' 를 꿈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의 기상과 해양 관측을 순수 우리기술로 이뤄 낸 이어도
종합
해양과학기지도 빼놓을 수 없다. 지난해 세종과학기지에서 발생한 사고로 변 원장은 가장 힘든 시기를 보냈다. 하지만 그는 오히려 전화위복이 된 점도 있다고 얘기했다. 한국의 해양연구 현실이 알려지면서 ... ...
빛을 찾아나선 사람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영화의 역사, 광통신과 레이저 같은 첨단과학기술 등 빛과 관련된 인간의 삶과 문명을
종합
적으로 정리해 놓았다. ‘빛 이야기’ 는 한마디로 과학기술과 역사와 예술을 넘나드는, 빛을 주제로 한 과학사이자 문명사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빛’ 이라는 한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과학의 전영역을 ... ...
한국, 국제물리올림피아드 준우승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국제생물올림피아드에서는 우리나라가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를 획득해 지난해에 이어
종합
5위를 차지했다. 7월 10일부터 개최된 이 대회에서 정혁달군(민족사관고 3년)이 금메달을, 김서기(서울대사대부고 3년) 안현석군(대구과학고 3년)과 이유진양(민족사관고 3년)이 은메달을 차지해 참가 학생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각종 기상요소가 제각기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서로 관련되어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종합
치를 구하여 판별할 필요가 있다 기상현상에 따라 비교적 심하지 않은 정도의 피해가 예상될 때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발표하는 기상현황과 예보 중대한 재해가 예상될 때는 기상경보를 발표한다 ... ...
07. 사람 마음 읽는 감성컴퓨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감동을 주기에 충분했고 상품성도 뛰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 일본 산업기술
종합
연구소가 ‘인공 감성창조물 프로젝트’의 하나로 로봇 애완동물을 개발하고 있는 것은 감성컴퓨팅의 미래에 밝은 전망을 던져주고 있다.감동 주는 컴퓨터 최근 컴퓨터 분야의 발전은 단순히 기술을 넘어 인간의 ... ...
우주에 건설된 바벨탑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토대에서 기원전 229년의 점토판을 발견했다. 점토판에 새겨진 기록과 다른 자료를
종합
해 조사한 결과 탑은 7층이었고 그 높이가 약 90m에 달했으며 모두 8천5백만개의 벽돌이 쓰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전설로 내려오는 바벨탑이라고 할 만한 규모다.이제 바벨탑이 우주에서 발견된 이유를 ... ...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나이가 건강 연령이다. 건강 연령은 연대기적 연령과 무관하게 신체의 각종 기능을
종합
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즉 연대기적 연령이 50세라도 심장과 허파의 기능이 왕성하고 골다공증이 없으며 근력이 강한 사람의 경우 30세의 나이에 이미 골다공증을 앓고 있는 사람보다 건강 연령이 ... ...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분야를 마음껏 연구하는데 꼭 교수일 필요는 없기 때문이죠.”1992년 귀국해 삼성
종합
기술원에 입사한 이 단장은 IBM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경영진들에게 나노기술의 중요성을 끈질기게 설득했다. 여기저기 다니며 미래는 나노기술의 시대라고 부르짖고 다녔다.“다행히 삼성의 경영진들은 새로운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