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삭제
절제
말소
폐지
금지
소각
철거
d라이브러리
"
제거
"(으)로 총 2,417건 검색되었습니다.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있는지를 알 수 있어 진단 키트에 많이 응용된다”고 설명했다.혈장에서 혈소판을
제거
한 혈청은 면역 검사에 쓰인다. 간염이나 매독, 에이즈같은 바이러스성 질병에 감염된 경우 혈액 내에는 해당하는 병원체를 없애기 위해 항체가 만들어진다. 혈청면역검사는 이들을 검출해 바이러스가 있는지 ... ...
PART1 고물 휴대전화 속 보물지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했다. 삼성전자의 경우 플라스틱 성분을 쏙 뺀 LCD(액정표시장치) TV와 유독성 화학물질을
제거
한 휴대전화를 생산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반면 지난번 평가에서 1위를 차지한 노키아는 중고제품 재활용 정책이 부실하다는 이유로 9등으로 밀려났다. 애플은 아이폰에서 신경계 질환을 유발하고 ... ...
달콤살벌한 성형의 유혹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새해가 되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결심 세 가지가 있다. 금주, 금연, 그리고 다이어트. 최근에는 ‘몸짱’에 도전하겠다며 허리띠를 졸라매는 남성들도 부지기수다. 의학의 도 ... 찾아 운동신경을 없애 근육 일부를 퇴축시킨다.주의 발로 가는 운동신경과 감각신경까지
제거
될 수 있다 ... ...
PART3 폐식용유 먹고 달리는 자동차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중화시킨다. 그 결과 염(R-COO-Na)과 물(H₂O)이 만들어지고 폐식용유 속 유리지방산도
제거
된다. 두 번째는 유리지방산과 메탄올(CH₃OH)에 산성 촉매를 넣어 반응시키는 방법이다. 이때 바이오디젤(R-COO-CH₃)이 1차적으로 만들어지고 물이 생성된다. 전처리를 한 원료는 바이오디젤로 변신할 준비를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The apparent antiquity of the methanogenic phenotype plus the fact that it seems well suited to the type of environment presumed to exist on earth 3~4 billion years ago lead us tentative ... DNA서열 가운 ...
PART4 지구온난화 늦춰줄 한 줌의 '소각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이때의 염소는 수용성 염화물과 마찬가지로 물에 잘 녹기 때문에 소각재에서 쉽게
제거
할 수 있다.마치 옷에 묻은 기름때가 물에는 잘 지워지지 않지만 세제를 넣으면 녹아나오는 것처럼 말이다. 여기서 기름때를 난용성 염화물에, 세제를 이산화탄소에 비유하면 이산화탄소라는 세제가 소각재 속 ... ...
질환 단백질의 입체구조에 맞는 열쇠 찾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중인 약 가운데 50%가 막단백질에 작용한다”며 “막단백질의 입체구조를 알면 부작용을
제거
한 신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막단백질은 물에 잘 녹지 않아 생산하기 힘들고 비누성분으로 녹이면 일반 단백질보다 크기도 커진다. 단백질이 커질수록 신호가 복잡해지고 약해져 900MHz NMR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烽燧臺) 역할을 한 셈이다. 봉화 신호를 받은 면역계는 항균물질을 생산해 침입 미생물을
제거
했다.이 연구결과는 2003년 8월 ‘네이처 이뮤놀로지’와 2006년 3월 ‘생화학저널’에 실렸다. 생체신호를 전달하는 단백질 구조를 밝힌 이 연구는 염증반응은 물론 선천성 면역질환의 비밀을 푸는 열쇠가 ... ...
해충 바퀴가 해충
제거
에 유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외모에 세균까지 옮긴다는 이유로 사람들이 혐오하는 해충 바퀴가 해충을
제거
하는 데 유용한 익충으로 사랑받게 될지도 모른다.지난 1월 7일 미국 사이언스데일리는 미국 농업연구청 곤충학자 밥 판넨스틸이 바퀴벌레가 콩과 목화의 잎을 공격하는 해충의 알을 먹어 치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 ...
세계 최초 줄기세포 복제돼지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장기의 크기가 성인과 비슷한 암컷 미니돼지에서 줄기세포를 뽑아 냈어요. 이걸 핵을
제거
한 일반 돼지의 난자에 넣고 전기충격을 주어 복제 수정란을 만들었지요. 이 수정란을 대리모 돼지의 자궁에 착상시켜 자라게 해서 결국 우리 복제돼지가 태어나게 된 거랍니다. 꿀꿀~, 설명이 좀 길죠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