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리"(으)로 총 3,2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2의 저주? 2문장에 함락된 오일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승=6의3승이 성립하는데, n이 k와 같으므로 추측이 성립한다. 이것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와도 관련이 있다. 협공으로 깨부숴버린 추측과연 오일러가 만든 추측은 강력했다. 한 세기가 지나도 입증하거나 혹은 반례를 찾아낸 사람이 아무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렇게 오일러는 끝판왕의 자리를 ... ...
- [과학뉴스] 월드컵 우승국은 스페인? AI 예상 결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리그 시즌의 선수 활약 등 팀의 경기능력과 선수 개개인의 능력에 대한 다량의 정보를 정리했다. 이후, 10만 회에 이르는 축구 경기 시뮬레이션을 통해 경우의 수를 따졌다. 팀 별로 각 라운드에서 생존할 확률은 물론, 가장 가능성이 높은 순위까지 예측했다. 이 AI는 F그룹에 속한 우리나라는 예선을 ... ...
- Part 1. 가짜 방귀의 자격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시작했답니다. 동물의 이름과 종명, 방귀를 뀌는지 여부, 설명, 작성자 ID 등을 문서로 정리해 나간 거예요. 약 1년이 지나자 모두 86종의 동물에 대한 방귀 정보가 한 문서 안에 담겼어요. 그 안엔 다니엘라가 연구하고 있는 아프리카 들개를 비롯해 박쥐, 치타, 기린 등의 동물이 방귀를 뀌는지, 어떤 ... ...
- [Culture] 우리 개가 꼬리를 물어뜯으며 빙빙 돌아요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강박적 행동이 나타나는 정신질환입니다. 동일한 생각을 강박적으로 하면서 손 씻기나 정리정돈, 확인하기 등의 행동을 끊임없이 반복합니다. 동물의 강박장애도 이와 비슷합니다. 하지만 동물이 강박적 사고를 하는지 확인할 길은 없습니다. 강박장애를 겪는 동물은 다양한 증상을 보입니다. ... ...
- [별난 이름 정리] 미운오리새끼 정리수학동아 l2018년 06호
-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수학자가 아니었다는 데 놀라셨나요? 페르마뿐만 아니라 3차방정식의 해법을 정리한 지롤라모 카르다노는 의사였고, ‘메르센 소수’로 알려진 마랭 메르센도 신학자였어요. 카르다노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이름난 의사였는데 의학 말고도 물리, 철학, 종교에도 관심이 많았어요. 특히 수학을 ... ...
- [인터뷰] 연세대 신입생 대표 염규민 “강점인 수리논술 집중해 부족한 내신 극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여백까지 활용할 만큼 풀이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했다. 문제 풀이 과정에서 특정 정리를 도입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언급하지 않고 그냥 쓰는 경우도 많은데, 그런 조건을 빼놓지 않고 기록하면서 풀이를 쓰다 보니 답안지가 모자랄 지경이 된 것이다. 하지만 염 씨는 이런 풀이 방식이 좋은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인문학자인 도정일 경희대 명예교수와 과학자인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의 대화를 정리한 ‘대담’이라는 책을 읽고 거기서 느낀 점을 자기소개서에 썼다. 초등학교 때부터 꿈을 갖고 조금씩 미래를 준비해 온 그에게 가장 힘들었던 시간은 수능 시험 일주일 뒤에 치른 구술고사였다. 그는 ... ...
- 네 마음을 알고 싶어! 마스터마인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1과 3은 숫자만 같으니 1R2W가 됩니다. 오른쪽 표를 보면 각 경우에 어떤 핀이 꽂히는지 잘 정리돼 있어요. 1213을 시도해서 나온 경우의 수 16가지 중 빨간 핀 1개, 흰색 핀 2개를 꽂은 경우(1R2W)를 생각해볼게요. 이 경우 암호가 될 수 있는 수는 빨간색으로 표시한 2231, 2411, 2511, 2611입니다. 암호 ... ...
- [Issue] 과학으로 카운트다운, 6·13 지방선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있던 후보가 역전당해 떨어지는 사례가 많습니다. 이유는 ‘베르트랑의 투표용지 정리’라는 수학적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878년 영국의 수학자 윌리엄 워트워드는 선거에서 승리한 후보(최종 득표수 p)가 패배한 후보(최종 득표수 q)를 개표 기간 내내 앞설 확률이 (p-q)/(p+q)라는 사실을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