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내용이 들어 있을까요? 그런데 진짜 UFO가 있기는 한 걸까요? UFO에 대해 평소 궁금했던 점들까지 영상 속에서 속 시원히 풀어드립니다! 진자운동으로 아트를! 조회수 : 4214회채널명 : SSom ART 쏨아트 (구독자 수 : 2.33만 명)캔버스 위에서 춤추는 종이컵, 뭘 하고 있는 걸까요? 한 유튜버가 진자 ... ...
- [특집] 동물원 관람객은 보전과 환경 교육 원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등 백과사전형 지식이나 ‘무서운 이빨이 있다’는 등 흥미 위주의 지식만 알려주는 점이 문제예요. Q관람객이 기대하는 교육 수준은 높아요.관람객의 수준이 높아지는 반면, 동물원은 그에 부합하는 교육을 제공하지 않아서 관람객들이 도심형 실내동물원을 찾는 것 같아요. 가까이 있는 데다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날아오르라, 익룡이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비해 비교적 잘 알려진 것은 풍부한 화석 덕분이에요. 1890년대 첫 발견 이후 약 1200점의 프테라노돈 화석이 발견됐지요. 그중 고대 상어에게 사냥당했다고 여겨지는 프테라노돈도 있어요. 이 화석은 1960년대에 미국 캔자스주에서 발견됐는데, 목뼈에 당시 바다에 많이 살던 상어인 ‘크레톡시나 ... ...
- [특집] 우동수비대가 찾은 노력 동물원, 순천만국가정원야생동물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거라도 매일 해 주려고 해요. Q매일 하시는 데 어려움은 없을까요?사육사가 부족한 점이 가장 어려워요. 우리 동물원에는 사육사가 다섯 명 있는데, 동물들의 건강 상태 등을 관리하는 데만 하루가 걸려요. 매일 동물마다 최소 30분, 문제가 있는 것 같으면 그 이상 관찰하고 기록하는 등 일이 ... ...
- [기획] 둥둥 떠서 여유롭게! 비행선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있고, 객실 안에 음료를 마실 수 있는 바도 있어요. 한편, 비행선은 친환경 비행체라는 점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지만, 거대한 크기와 가스가 채워져 있다는 특징 때문에 관리하기가 까다롭다는 지적도 있어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김동민 박사는 “비행선은 비행기보다 매우 크기 때문에 비행선을 ... ...
- [수학 잘하는 동물친구들] 거미줄로 뚝딱뚝딱, 집짓기 비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방탄복이나 낙하산, 스포츠 장비, 수술 부위를 봉합하는 실, 인공 힘줄 등에 거미줄의 장점을 이용하고 싶었지요. 그러려면 거미줄이 아주 많이 필요한데, 거미줄은 많은 양을 만들어내기가 쉽지 않아요. 거미는 좁은 공간에 여러 마리를 두면 서로 싸워 죽이는 습성이 있거든요. 한 마리의 거미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물속에서 숨 쉴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것이죠.그런데 이 방법을 쓰려면 직장 내벽을 긁어내 얇게 만드는 시술을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어요. 연구팀은 이런 시술 없이 장호흡을 하는 방법을 고민하다가, 독성이 없고 산소를 많이 녹일 수 있는 액체(퍼플루오로데칼린)를 써보기로 했어요. 이 용액에 산소를 녹인 뒤 쥐와 돼지의 항문으로 ... ...
- [특집] 점에 대한 모든 것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머나먼 길을 가는 동안 내 소개를 하지. 내가 누군지 궁금하지 않니? 사람들은 아주 먼 옛날부터 나에 대해 관심이 많았어. 뭐라고 이야기했는지 들어 봐. ... “점이 없었다면 우리는 만날 장소를 정할 수도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지도에 점을 찍어야 위치를 나타낼 수 있으니까요 ... ...
- [특집] 작고 작은 점의 위대한 여행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http://dl.dongascience.com/magazine/view/N202113N003+놀이북 4쪽, 23쪽과 함께 보세요! 안녕! 나는 작고 작은 마을에 사는 작고 작은 점이야. 우리 마을엔 나 혼자뿐이어서 난 늘 혼자 ... 모든 것Part2. [특집] 시끌벅적 점점점 운동장 놀이Part3. [특집] 점선 ...
- [특집] 점선면 마을의 전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않는 선은 선분이라고 불러요. 선분의 길이는 잴 수 있지요. 선의 한쪽 끝에만 점이 있고 다른 한 쪽 끝은 한없이 뻗어나갈 때, 이것을 반직선이라고 부른답니다. 그런데 만약 선을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이어 붙이면 어떻게 될까요? 바로 면이 만들어져요. 선은 길이만 잴 수 있지만, 면은 넓이까지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