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자
구성원
알맹이
극소량
티끌
미립자
브이
d라이브러리
"
입자
"(으)로 총 2,810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자(精子) 추적, 나노
입자
에게 맡겨봐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주지 않으면서 정자를 추적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맨 오른쪽 사진).연구팀은 이
입자
를 이용하면 불임의 원인을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 물질을 주입해 불임을 고치는 데에도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내가 바라는 바가 고스란히 실현될 것이다. 나는 내가 간직해 온 하나의 반
입자
가 하나의
입자
와 충돌하면서 연쇄반응이 일어나 은색 천구 항성계와 그 안에 있는 모든 존재를 완전히 날려버릴 수 있기를 바라고, 그 실현 가능성을 점점 높였다.0.997나는 결과를 알 수 없을 것이다.0.998내가 전 우주의 ... ...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이 웜홀에 주목한다. 그는 지구내부에 있는 강한 미지의 에너지인 코어에너지를 이용해
입자
가속기에서 발생한 에너지를 증폭시키면 웜홀이 닫히는 것을 막고 24시간 뒤로 시공간 이동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말은 과학적으로 타당할까? 영화 ‘11시’는 국가핵융합연구소의 협조를 얻어 ... ...
[W5 코드 브레이커] 수학과 함께 달려온 암호의 역사
수학동아
l
2013년 12호
몸에 있는 지문과 홍채의 다양성 덕분에 ‘생체 인식 암호’가 탄생했다. 또한 아주 작은
입자
들의 세계를 설명하는 양자역학의 발전에 힘입어 조만간 절대로 엿볼 수 없는 ‘양자 암호’까지도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1짜리 나노
입자
를 골라내는 게 쉽겠습니까. 그래서 생각을 바꿔서 균일한 크기의 나노
입자
를 합성한 겁니다. 그런 시도는 이전에도 있었는데 성공한 것은 저 뿐이죠.” 현재 그는 자신의 힘든 연구 상황을 타개시켜주는데 큰 역할을 했던 미국화학회지의 편집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중·고교 ... ...
INTRO. 노벨 과학상 2013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물리학상, 화학상이차례로 발표됐다. 특히 올해는 작년 여름 존재가 확인된 ‘힉스
입자
’와 관련한 과학자들이 물리학상을 받아 이목을 끌었다. 생리의학상은 다시 한번 기초 생화학 분야가 수상했고, 화학상은 독특하게도 컴퓨터와 관련한 이론화학자들이 받았다. 다채로운 2013년 노벨 과학상의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입자
에는 ‘2등’인 힉스 교수의 이름이 붙어 있게 된 걸까.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입자
에 힉스 교수의 이름이 붙은 것은 아주 틀린 것은 아니다. 이들이 밝혀낸 메커니즘은 같았지만, 힉스 교수의 논문에는 앙글레르 교수가 표현하지 못한 내용이 하나 더 있었기 때문이다. 바로 힉스
입자
의 존재다. ... ...
소수를 쪼개면 우주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강연을 위해 잠시 한국을 방문한 김 교수를 만나 이에 대해 물었다.“소수와 기본
입자
는 더 이상 분해되지 않을 거라고 믿는 사람들을 배신하며 더 근원적으로 나눠졌다는 공통점이 있어요. 그 과정에서 우리가 우주를 이해하는 차원을 한 단계 높여줬다는 점도 같고요. 수학자와 과학자가 이런 ... ...
병원에서 귀신도 쫓나요?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벨기에 브뤼셀자유대 교수에게 돌아갔습니다. 지난해 유럽
입자
물리연구소가 힉스
입자
를 발견해 이들의 이론이 옳았음을 확인한 덕분입니다.이런 이야기를 듣고 있자니 제가 지니고 있던 오랜 의문이 떠올랐습니다. 양성자니 중성자니 중성미자니 힉스니 하는 온갖 소립자도 발견되고 있는 마당에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실험 포인트피뢰침은 끝이 뾰족한 금속이다. 이런 부분에는 전기를 흐르게 하는
입자
인 전하가 모이기 쉽다. 전하는 공기 중에서도 쉽게 움직이기 때문에, 금속의 뾰족한 끝과 끝을 연결하면 전하가 그 사이를 이동한다.잠깐! 번개의 전기감전의 위험도는 전압이 아닌 전류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