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원"(으)로 총 2,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레이저 궤적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1년 06호
- Q 가로 8, 세로 4의 유리 테이블이 있다. 이 테이블의 가장자리는 모두 반사유리로 돼 있다. 직진으로 나가는 레이저를 가로 3 지점에서 쏘되, 나머지 세개의 유리벽을 반사해 정확히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하려면 오른쪽 벽의 어느 지점으로 쏴야 할까? ...
- PART 1 오디션에 숨어 있는 3가지 수학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점수를 더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참가자들의 당일 컨디션과 공연의 내용에 따라 심사위원과 시청자의 점수는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원래 실력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그날 다른 참가자의 공연과 비교할 때 합격점을 통과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기준이 변하기 때문에 합격점도 매번 ... ...
- 올해 KMO 1차, 예년보다 어려웠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문제와, 문제해결 아이디어가 비슷한 것으로 확인됐다.한편 중등부 2차 시험에 대해서 KMO 위원회 관계자는“2차 시험에 대해서는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며“기출문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1차 시험과 같이 KMO만의 특성이 나타나게끔 출제될 것”이라고 밝혔다. tip●2011년 KMO 중등부 1차 시험 문제, ... ...
- 2011 한국수학올림피아드 1차 시험 대비법 수학 최고수라면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1년 05호
- mathnet.kaist.ac.kr)에서도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KMO 문제는 보통 학생이 풀기 어렵다. KMO 위원회는 중학교 교과과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1차 시험 문제를 출제한다는 기준을 두고 있다. 하지만 현행교과서에 나오는 내용이 최상위권중학생의 수학실력을 높이는 데 부족해 실제로는 ... ...
- Part 2. 잘 살고 있니? 고기공장에 갇힌 가축과학동아 l2011년 05호
- 동물이 조금이라도 편하게 살게 해줘야 한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다. 영국의 농장동물복지위원회는 1993년에 5가지 기준을 제시했고, 1996년에는 동물복지법을 제정했다. 동물복지축산은 생산성이 떨어지고, 시설과 노동력이 더 들어가기 때문에 보조금을 주는 정책도 함께하고 있다.조광호 전남대 ... ...
- 글로벌 벤처 내 손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주축이 돼 연세대, 배제대, 인하대 학생들과 함께 준비했다. 조직위원회 대표이자 동아리의 전임 회장인 양영석(서울대 경영학과 09학번) 씨는 백지상태에서 의욕만 갖고 시작했는데 많은 것을 경험했다고 말한다.“작년에 열린 2010년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 MIT-GSW에 가서 영어로 프리젠테이션을 ... ...
- 빈자리에 알파벳 상자 넣기과학동아 l2011년 05호
- Q 다음 상자 속의 글자들은 어떤 특별한 규칙이 있습니다. 비어있는 곳에 들어갈 수 있는 작은 상자 2개는 어떤 것일까요? 이달의 퍼즐 다음 상자 속의 글자들은 어떤 특별한 규칙이 있습니다. 비어있는 곳 A, B에 들어갈 수 있는 작은 상자는 어떤 것일까요? A와 B에 해당하는 상자를 각각 표시해 주세요.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작아, 황사가 이동하듯 바람을 타고 멀리 이동할 수 있다. 유엔방사능영향과학위원회(UNSCEAR)가 2008년 펴낸 체르노빌 보고서에 따르면 사고 뒤 열흘 동안 기상 조건에 따라 북서, 동, 서남 방향으로 방사능 연기(플룸)가 퍼졌다. 13년 뒤인 1989년 세슘-137 오염도를 조사해본 결과 플룸이 흐른 곳에 세슘 ... ...
- Part 1. 대한민국 영재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1년 05호
-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학교 측 5명, 교수회 5명, 학생회 3명으로 혁신비상위원회를 구성하고 지난 4월 19일부터 일주일에 3번씩 회의하고 있다. 카이스트 교수와 학생들이 대한민국에 ‘영재들이 살아갈 현명한 길’을 제시해 주길 기대한다.[카이스트는 지난 4월 11~12일을 자살한 학생들에 ... ...
- 지구의 젖줄, 바다가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포함돼 있다.고래와 같이 상업적인 어획이 금지된 동물의 사냥도 문제다. 1986년 국제포경위원회(IWC)가 멸종위기에 빠진 고래의 개체수를 회복시키기 위해 금지했지만, 회원국 중에서도 자체 어획량을 정한 채 포경을 계속하는 나라가 있다. 일본은 아예 포경의 합법화를 주장하고 있다.상어 역시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