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뉴스
정보
보도
소문
기별
통지
뉴쓰
d라이브러리
"
소식
"(으)로 총 1,678건 검색되었습니다.
24년 전통의 ‘자동차 명가’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현대·기아자동차에 입사해 회사에 카스 모임이 생길 정도로 이들은 실력파다. 최근 수상
소식
이 뜸했던 카스는 ‘경희 14호’로 다시 비상을 꿈꾼다. 자동차 ‘티코’ 크기만 한 ‘경희 14호’에는 카스 24년의 노하우가 녹아있다. 제작팀장 이도행(07학번)씨는 “코너링을 잘 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 ... ...
연구에 늦바람 부니 재미가 쏠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재료공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연구 결과가 실린다는
소식
을 들었기 때문이다. 그 순간 속으로 ‘아, 해냈구나!’라는 짧은 탄성이 흘러나왔다.대학을 졸업하던 2002년 국내에는 벤처 붐이 일었다. ‘나도 도전해보자’는 생각에 학부 선배가 창업한 벤처에 들어가 ... ...
sos! 고래는 지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크게 뜨고 고래를 찾아보세요!" 안용락(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수산연구사)향고래
소식
인간은 내 친구향고래몸길이 18m, 몸무게 57톤으로 이빨고래류 중 가장 크다. 깊은 바다에서 살며 동물 중 몸길이에 비해 머리 비율이 가장 크다. 난 네모난 머리 모양이 독특한 향고래야. 소설‘흰 고래 ... ...
INTRO 지구온난화, '북극 전쟁'의 방아쇠를 당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도착한 이는 피어리였다. 그는 1909년 4월 6일 북극점에 깃발을 꽂았다고 주장했다. 이
소식
이 전해지자 쿡은 자신이 1908년 먼저 북극점에 도달했다며 탐험기록을 증거로 내세웠다. 하지만 두 사람 모두 탐험기록이 온전치 않아 누가 먼저 북극점을 정복했는지는 아직까지 논쟁 중이다.그로부터 100년이 ... ...
소야, 사람이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해요. 연구팀은 다음 번에 만들 배아는 6일 동안 살 수 있을 거라고 전망했어요.이
소식
이 알려지자 영국 가톨릭교회는 연구팀을 비난하고 나섰어요. 소와 인간을 합성하는 건 인간과 생명의 존엄성을 해치는 비윤리적인 실험이라는 거예요. 하지만 연구팀은 연구의 목적이 당뇨병, 뇌졸중 등 ... ...
1. 축제로 들뜬 CERN의 사람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시인했다.그의 단언대로라면 곧 LHC가 가동된다. 어려운 상황을 헤쳐 온 그에게 LHC 가동
소식
은 남다르다. 실험 준비를 끝냈고, LHC가 물리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아이머 소장은 힉스가 발견되면 후속 연구를 위해 선형가속기(CLIC)를 한 대 더 지을 계획이다. 프랑스와 영국, ... ...
영혼을 잃고 헤매는 가엾은 육체의 광시곡 바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몇 주 전 교통사고로 사망했고 그의 누나 에이가 사실은 다라라이라는 충격적인
소식
을 전한다. 그리고 우사를 찾아온 촌라싯은 다라라이에게 최면이 걸린 자신의 남편이라고 말한다.우사의 주장처럼 우사의 남편과 촌라싯이 동일 인물일 경우 그는 해리성 장애를 겪고 있다. 해리성 장애는 ... ...
맞바람에 전진하는 요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6월 11~15일 동안 열린 이번 대회에서 12개 팀 가운데 9위의 저조한 성적을 거뒀다는
소식
을 전해왔다. 몸둘 바를 모르겠다. G-마린호 어떻게 만들어졌나G-마린호는 우리나라 최초의 경기용 요트다. 호주의 요트 디자이너 브렛 화이트가 설계하고 국내 업체 암텍이 제작했다. 요트를 제작한 경기도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눈으로 얼굴을 비벼 세수를 하고 비스킷으로 아침식사를 했어요.무전기는 여전히 구조대
소식
을 들려주지 않았어요. 결국 우주인들은 나무와 낙하산 천을 이용해 원뿔 모양의 인디언텐트를 짓기로 했어요. 조난 상황이 길어질 경우를 대비해 더 오래 머무를 수 있는 거처를 마련하기로 한 거죠 ... ...
한글은 자음의 색이 선명해요!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대학에 들어와 홍보동아리인 ‘카이누리’에 가입한 이씨는 KAIST가 계간으로 발행하는
소식
지 ‘KAIST 비전’ 여름호에 일러스트를 그리기도 했다. 김 교수는 “유명한 예술가나 과학자 가운데 공감각 경험자가 많다”며 “공감각이 창의력이나 예술성의 원천이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호호,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