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의 영국 유학 일기] 땅값이 비싼 런던에서 대학교에 다닌다는 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내년에 살 집도 기숙사 근처인 노스 액턴 지역을 알아보고 있다. 1년 조금 넘게 살아본 결과, 이곳은 센트럴 런던보다는 조금 번거롭지만 열심히 살아가기에는 최적의 장소다. 바쁘기 때문에 성실할 수밖에 없고, 성실하기 때문에 공부에 더욱 집중할 수 있는 곳이랄까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생각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할 거예요. 줄여서 ‘심튜’라고 하죠. 심튜는 사람처럼 대화할 수 있어요. 심튜를 써본 사람들은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건지, 채팅 프로그램과 대화하는 건지 분간하기 어려웠다고 해요. 그만큼 심튜의 대화 능력이 사람처럼 자연스러웠다는 뜻이지요. 자, 그럼 여기서 질문! 심튜는 생각할 수 있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날개 없는 비행기 콘테스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화석 연료를 이용한 엔진과 함께 사용한답니다. 시험 운항을 해 본 결과, 다른 선박들에 비해 화석 연료를 25% 정도 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지요. 또한 최근 ‘MS 바이킹 그레이스’ 역시 로터 세일을 장착해 연간 900t 정도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겠다는 계획을 ... ...
- [이달의 PICK] 분노는 발명의 어머니? 난다 화가, 한다 발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수 없을 정도의 끔찍한 맛일 거라 생각하며 손님에게 내놓았다. 하지만 새로운 요리를 맛 본 손님은 끊임없이 찬사를 보내며 심지어 추가 주문까지 했다. 그 뒤 크럼의 감자튀김은 유명세를 타며 ‘사라토가 칩’으로 널리 알려졌고, 훗날 지금의 감자칩으로 진화했다 ... ...
- [화보] 생활 속 화학물질, 예술이 되다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하고, 아름다운 보석을 찍은 것 같기도 해요. 눈 덮인 겨울산 | 눈 덮인 산을 상공에서 본 것 같죠? 비타민 C가 만들어 낸 추운 겨울에 딱 어울리는 사진입니다. 자세히 보니 평면을 수학적으로 나누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처럼 보이기도 하네요. 역시! 수학은 어딜 가나 빼놓을 수 없습니다 ... ...
- 새로운 도형이 나타났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어떻게 연결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습니다. 일본 연구팀이 예상하는 활용 분야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사진으로 만나 보세요. 직접 만들어보는 신기한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 새로운 도형을 만든 두 연구자처럼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을 만들어보고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늘 친절하게 검토를 해줘서 가까이 있는 것 같지만, 사실은 폴리매스 친구들이 한 번도 본 적 없는 폴리매스 문제 출제자를 매달 한 명씩 만나볼 예정이에요. 첫 번째 주인공은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문제를 내주는 백진언 연구원입니다! Q 자기소개 부탁해요!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백진언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아닌, 더럽고 웃긴 동물들의 민낯을 낱낱이 공개한다. 물리 교과서를 한 번쯤 뒤적여 본 사람이라면 분명 엔리코 페르미의 이름을 들어봤을 것이다. ‘페르미 역설의 그 페르미’라면서 무릎을 ‘탁’하고 칠 독자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페르미 우주망원경’ ‘페르미온’ ‘페르미 ... ...
- Part 3. 편견 - 고인류는 야만인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상태였죠. 이 때문에 네안데르탈인은 구부정한 자세로 복원되었어요. 그런데 이를 본 많은 유럽 사람들은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식민지에 있는 원주민을 떠올렸어요. 다른 대륙의 땅을 빼앗아 강제로 식민지를 만든 유럽 사람들은 원주민들이 미개하므로 유럽의 문명을 전달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 ...
- [과학뉴스] 새 역사를 쓴 뉴호라이즌스호와 창어 4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착륙하는 일은 인류 최초예요. 창어 4호는 이날 오전 10시 26분(현지 시각), 달의 뒷면 ‘본 카르만 크레이터’에 첫발을 디뎠어요. 창어 4호는 달의 표면 위 15km 위에서부터 속도를 줄이고 100m 위에 도착해 표면의 장애물을 확인하고 경사면을 측정하면서 평평한 지역을 골라 수직으로 내려왔어요.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