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리"(으)로 총 1,2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과학- 흑점수는 11.2년 주기로 증감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이들 자기력선은 때로는 소용돌이를 이루며 광구를 뚫고 나와 확장돼 우주 공간으로 고리를 형성하게 된다.이러한 자기장의 소용돌이는 태양 표면의 밝은 가스를 주변으로 몰아내어 상대적으로 어두운 흑점을 만들게 된다. 태양 표면의 온도는 약 6천K 정도이지만 흑점은 이보다 낮은 4천-5천K정도다. ... ...
- 생물- 대장균이 길러낸 인슐린으로 당뇨병 치료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있고, 다른 세포에도 옮겨가는 인자를 플라스미드라고 총칭한다. 플라스미드는 작은 고리 모양 DNA로 구성되었으며 그 DNA가 갖는 유전정보는 세균 자신 DNA의 유전정보와 마찬가지로 발현된다. 이 플라스미드는 염색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 여분의 DNA로서, 패신저 DNA를 끼워 넣어 숙주세포까지 ... ...
- 물리- 패러데이가 전자기유도를 발견하던 날과학동아 l1994년 01호
- 작용하는 힘만 반으로 적어진다. 패러데이의 일기'전자기 유도법칙'의 패러데이는 연철고리에 A, B 2개의 코일을 감은 장치를 만들고,자석으로부터 전류를 만드는 실험을 반복하고 있었다. B코일 근처에는 자침을 놓아 전류가 흐르면 자침이 움직이게 되어 있다. 몇번이나 반복된 실패 후에 마침내 ... ...
- 3.3년 주기 엥케혜성과학동아 l1994년 01호
- 위의 토성1등급의 밝기와 15.9초의 시직경을 유지하고 있어 이달 중순까지는 토성의 고리정도를 확인하는데 무리가 없지만 이달 말경부터는 천문박명이 시작될 때쯤이면 고도가 너무 낮아졌으므로 관측이 불가능해진다. 지평선 근처에서 점점 서쪽으로 움직여가는 토성을 5일 정도의 간격을 두고 ... ...
- 물리 - 동전과 달걀을 이용한 관성탐험과학동아 l1994년 01호
- 해 볼까요?삶은 달걀과 날달걀에 각각 테이프를 붙여 실을 고정시킨 뒤 고리를 만듭니다. 고리에 손가락을 끼워 놓고 달걀을 돌려서 실을 꼰 뒤 손을 놓으면 달걀이 돌기 시작합니다. 삶은 달걀은 실이 풀렸다가 감기면서 이번에는 반대방향으로 돌기 시작합니다. 그리고는 다시 반대 방향으로, 또 ... ...
-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과학동아 l1993년 12호
- 밀원의 거리를 알 수 있다. 그럼 방향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밀원의 방향은 8자의 두고리가 만나는 공통 직선과 관계가 있다. 8자를 그리는 방식은 밀원과 집을 잇는 선과 거리를 나타내는 동시에, 태양과 집을 잇는 선의 각도도 나타낸다. 그 방법은 그림에서와 같이 태양의 위치, 벌통의 위치, ...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과학동아 l1993년 11호
- 있기 때문에 행성형이란 이름을 붙이게 된 것이다. 행성상 성운의 가장 대표적인 것이 고리성운(M57)인데, 이 성운은 구경 15㎝의 반사망원경으로도 가운데 구멍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실제로 이렇게 생긴 것은 아니고 구형인 성운의 가장자리가 두터워 그렇게 보일 뿐이다. 여우자리의 ... ...
- 태양에 검은 반점 남기는 수성의 일면통과과학동아 l1993년 11호
- 것이 되는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토성고리 면을 자세히 관측하고 스케치해 보자. 정말로 고리가 얇아져 끝내 없어지는지……이달의 유성우■ 황소자리 유성우앵케 혜성의 모혜성인 이 유성우는 이달 5일을 전후해 절정기를 이루어서 시간당 10개 정도의 유성을 관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유성우의 ... ...
- 안정동위원소 이용한 석유탐사 새기술과학동아 l1993년 11호
- 케로젠(kerogen)이란 물질의 덩어리가 형성된다. 기본적인 케로젠 분자는 벤젠형의 방향족 고리가 케로젠을 여러 겹으로 둘러싸서 만들어진 덩어리다(그림 3). 이것이 석유의 조상인 기원물질이라는 학설이다. 지구상에 약 1.3×${10}^{12}$t이 존재하는 케로젠은 유기탄소의 가장 풍부한 형태로 알려지고 ...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과학동아 l1993년 11호
- 과정에서 질량이 태양의 1.4배 이상 되는 별에서는 표면층의 물질이 밖으로 방출되어 고리모양으로 많이 관측된다. 이를 행성상 성운이라 한다(사진7).일생에서 마지막에 가까운 행성상 성운의 단계를 지나면서 별은 급격한 수축을 일으켜 각설탕만한 크기에 질량은 1백만t에 이른다. 이런 천체를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