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뭉치
덩이
다발
타래
쌓아올린 더미
솜뭉치
사리
d라이브러리
"
덩어리
"(으)로 총 1,220건 검색되었습니다.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
과학동아
l
199105
DNA는 보통 끈모양으로 존재하고 있으나, 세포분열시에는 색소로 염색하기 쉬운
덩어리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염색체다. 염색체내에는 많은 유전인자가 포함돼 있고 세포속에는 같은 염색체들이 다수 존재한다. 잉어의 경우 1백개의 염색체가 한 세포안에 있는데 이 속에는 약 5만개의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04
은하가 보인다는 것이다.밝기는 8등급으로 관측조건이 좋다면 쌍안경으로 뿌연 안개
덩어리
를 볼 수 있다. 아마추어들이 사용하는 소형 망원경으로는 별처럼 생긴 소용돌이의 핵과 위성 은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은하의 나선 팔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천문대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 ...
잘못 알고 있는 「코피상식」많다
과학동아
l
199104
아니라 호흡에 치명적인 장애를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다량의 혈액이나 혈액
덩어리
가 기관안으로 흡입될 경우 호흡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런 기도폐쇄는 환자를 앉은 자세로 앞쪽을 향하게 허리를 숙이게 하면 막을 수 있다.또 지속성 재발성 출혈은 쇼크를 일으킬 정도의 혈액손실을 초래할 ... ...
돈없이 사장되는 지름길 보통머리로 발명왕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04
노벨은 '이것은 어쩌면 폭발하지 않을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그 조그만
덩어리
를 돌멩이로 두들겨 보았다. 안전했다. 그는 모래에 니트로글리세린을 흡수시키면 쉽게 폭발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것이 다이나마이트의 시작이었다. 그 뒤 연구를 거듭해 마침내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03
우리자신의 위치를 확고히 하려면, 머리 속에 조용히 숨쉬고 있는 두부같은 회백색의 뇌
덩어리
를 잘 이해해야 할 것이다.뇌와 연계되는 행동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접근하려 할 때 과학자들이 추구하는 방법론을 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재까지 신경과학의 연구방법은 원칙적으로 분석적이며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03
에멀션현상을 막는다. 에멀션이 형성되면 부피가 커질 뿐 아니라 끈적한 타르(tar)
덩어리
가 돼 바다밑바닥에 가라앉기 때문이다.그러나 유분산제에 함유된 솔벤트는 생물에게 독성이 큰 성분이어서 당장에 기름막을 제거하더라도 2차오염으로 인한 피해는 더 막대해질 수 있다. 67년 영국 근해에서 ... ...
차세대 전화기술혁명 무선시대를 연다
과학동아
l
199102
수 있는 위성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발을 시작해 수년내로 서비스가 제공될 전망이다.땅
덩어리
가 넓은 미국에서는 대형트럭이 물건을 싣고 수천 ㎞에 이르는 거리를 운행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트럭에 통신 단말기를 설치, 인공위성을 이용해서 지상기지국에 현재의 트럭의 위치에 관한 정보와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02
얻을 수 있다.우주의 팽창은 별이나 은하 같은 비균질한
덩어리
를 만들어낸다. 아울러 이
덩어리
가 내는 열이 저온이 된 주위(팽창에 따른 냉각으로 인해)로 흐르게 된다. 다시 말해 엔트로피의 증가를 계속 일으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주의 역사는 엔트로피가 보다 높은 상태로 진행되고 있는 ... ...
블랙홀이 지구에도 있는가?
과학동아
l
199101
핵은 니켈과 철로 이루어져 있다는 가정을 불필요하게 만든다. 지구는 대신 온통 바위
덩어리
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물론 지구의 맨틀엔 "핫 스포트(뜨거운 지점)"들이 있다. 지구의 표피가 천천히 이들을 따라 움직일때 이 지점들의 위치엔 변함이 없다. 그러나 가끔씩 핫 스포트는 화산 ... ...
차디 찬 바이칼호수에서 발견된 열수배출구
과학동아
l
199101
2주만에 열수배출구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낸 것이다. 배출구의 입구는 해면 박테리아
덩어리
새우로 완전히 채워져 있었다. 박테리아와 새우는 해양의 열수배출구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생물들이다. 그러나 해면이 입구주위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이 해양 유기물들이 어떻게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