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901건 검색되었습니다.
원하는 모양대로 만들 수 있는 신개념 리튬전지 개발
2015.08.11
실험 결과 지름 5㎜ 막대 위에 반복해 감은 경우에도 성능이 유지됐으며 안정성 역시
기존
리튬이온전지보다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교수는 “사물인터넷 상용화이 가장 큰 과제는 배터리 공간의 확보”라며 “일상생활에서 입는 옷이나 사용하는 자재들의 큰 모양 변화 없이도 배터리를 ... ...
휘는 태양전지 값싸고 친환경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찾았다
2015.08.11
이 방법으로 프린팅한 나노잉크는 대기 중에서 한 달 이상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등
기존
유기물 분산제를 사용한 나노잉크와 비교해서도 안정성이 우수했다. 이 연구원은 “유기물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고 고품질의 박막을 형성하는 나노잉크 제조 기술을 처음으로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 ...
전기요금 10분의 1로 낮춘 신개념 3D TV 나온다
2015.08.09
달라져야 하는 3D용 디스플레이에 바로 적용할 수 있을 걸로 보인다. 송 교수는 “
기존
제작기술은 두 개의 액정을 따로따로 만들어 붙여야 했는데 한번에 제작할 수 있어 공정도 간단해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액체 방울의 변화과정에서 생기는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미세 ... ...
레이저 쪼여 50배 빠른 초박막 반도체 개발
2015.08.07
연구위원.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원자 한 층 두께의 신소재를 이용해
기존
초박막 반도체보다 속도가 50배 빠른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 이영희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장과 양희준 연구위원(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은 에너지 손실이 적고 속도가 빠른 반도체 ... ...
커피 찌꺼기로 전기 만든다
2015.08.06
첨가제로 이용해 바이오연료를 개발하는 연구는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기술은 커피찌꺼기에 열 등을 이용해 처리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3일간 자연상태에서 건조시킨 폐 커피분말에 유기화합물을 섞는 간단한 공정으로 ... ...
“배울것 많다” 아우성… ‘임상적 근거’ 바탕으로 학습량 정해야
동아일보
l
2015.08.06
벌어지는 문제를 분석할 최소한의 시간은 두고 개정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존
의 교육과정이 현장에 적용되기도 전에 또다시 개정 논의가 시작되면서 문제점 분석 없는 졸속 개정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다. 안상진 사교육걱정없는세상 부소장은 “왜 잘 안되는지에 대한 연구 없이 개정에 ... ...
런던∼뉴욕 1시간… 초음속 여객기 만든다
동아일보
l
2015.08.06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콩코드2 제작 관계자들은 “매우 높은 위치에서 비행하기 때문에
기존
대공 요격 미사일의 공격을 거의 받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에어버스는 과거 콩코드가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지 못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혔던 소음 문제를 크게 개선했다고 주장했으나 ... ...
뜨개질 하듯 짜내면 모니터 되는 ‘실’ 개발했다
2015.08.05
코팅하는 공정을 개발해 실과 같은 3차원 형상의 전자 기판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기존
방식으로는 제작이 어려웠던 실 모양의 3차원 기판에 유기물 층을 형성해 빛이 나도록 만드는데 성공했다. 굵기 역시 최소 수십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단위로 가늘게 뽑아낼 수 있다. 옷감을 짜는 일반 ... ...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처럼 가상현실 조종
2015.08.05
서로 다른 공간의 두 사람이 쌓여 있는 블록을 밀어 떨어뜨리는 젠가 게임을 하고 있다.
기존
장치에 비해 넓은 공간에서 정밀하게 동작을 인식한다. - KIST 제공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의문을 갖는 사람들이 많다”며 그림 두 장이 나란히 있는 화면을 보여준다. 왼쪽은
기존
인체 림프계 분포지도이고 오른쪽은 이번 버지니아대 연구팀의 결과를 반영한 새 림프계 지도다. 소 교수는 “그렇게 오랫동안 알려진 림프관조차도 뇌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며 림프관의 1 ... ...
이전
1073
1074
1075
1076
1077
1078
1079
1080
10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