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d라이브러리
"
해
"(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라산 나비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모든 것을 배웠다는데 있다. 또 이번에 배운 분들이 학생과 동료선생들에게 이야기
해
줄 것이다.11일(일) 대원은 남색남방공작나비, 청띠제비나비 등의 추억을 안고 비행기에 탑승했다 ... ...
1. 먹거리의 대차대조표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든다.그러나 이 설명은 표본이 무엇이며 먹는 사람의 기준이 누구냐에 따라 결정적 위
해
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을 별로 고려하지 않은 것 같다. 실험쥐에게 인간이 먹는 것처럼 여러 종류의 식품첨가제가 든 음식을 현재와 같은 인간적 환경에서 먹여 얻은 실험결과냐 아니냐를 물어볼 필요가 있다 ... ...
3. 사이버닥터가 진단한 인터넷 신드롬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가상의사(Cyber-Doctor)에게서 찾고 있다. 필자도 가끔 그 사이버닥터의 역할을 수행
해
주기도 한다(http://psyber.snu.ac.kr). 그들은 가상공간의 웹중독자(Webaholics)들을 위한 웹사이트에 모여들어 대책을 논하기도 한다. 하지만 "현실세계에서 서로의 얼굴을 마주하고 어울려 이야기하는 즐거움을 되찾는것" ... ...
사형장까지 논쟁 몰고간 에디슨의 음모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전력을 보낼 수 있다. 또 적은 전류를 보낼 때 굵은 전선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직류에 비
해
경제적이다.현재 가정이나 대부분의 공장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교류 전압이다. 가정용 전압이 110V에서 220V로 바뀐 것은 그만큼 전기 손실이 적어져 사용자들이 전기세를 덜 내게 됐음을 의미한다 ... ...
사람의 발정기가 사라진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따름이다. 아무튼 오늘날의 여성들은 아득한 먼 옛날에 인류의 암컷들이 배란 은폐를 통
해
서 이루어낸 위대한 성혁명의 유산을 만끽하면서 사내들과 힘겨루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 ...
머리카락도 안보인다 첨단기술도 속수무책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특성이 이 장치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그래서 지뢰와 땅을 좀 더 잘 구별하기 위
해
과학자들은 땅의 성격에 따라 전자파가 어떻게 반사되는지 연구하고 있다.즉 땅 표면에서 에너지가 얼마나 소실되는지, 습기같은 것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한다. 과학자들은 땅의 성격에 따른 ... ...
96일본 청소년과학제전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과학선생들의 주장이다.현재 한국과 일본은 과학놀이마당, 과학제전과 같은 이벤트를 통
해
과학교육의 문제점을 메우려고 몸부림하고 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입시위주 교육이 사라지지 않는 한 고름만 짜는 정도에 그칠 우려가 있다는 것이 양국 선생들의 생각이다 ... ...
1. 나의 인생과 직업을 바꾼 인터넷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레벨이 높아져서 여러 가지 마법과 전투 기술을 배울 수 있다. LP MUD는 문제
해
결을 통
해
레벨업이 이루어지는데, 나중에는 자신만의 성(castle)을 가지고 게임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우리나라의 일반 상용 통신망에서 제공되는 머드게임 중, Diku MUD계열은 (주)마리텔레콤에서 제공하는 '단군의 땅'이 ... ...
교육용 공개 프로그램 세계수준 아직 낮아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홈소프트웨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교육용 프로그램은 아직 그 중요성에 비
해
눈에 쏙 들어오는 작품이 등장하지 않고 있 ... 학습을 마치면 2백여개의 단어를 습득할 수 있다. 사전이나 문법 설명 없이도 앞 뒤 상황을 통
해
저절로 의미를 깨달을 수 있도록 한 구성도 돋보인다 ... ...
수영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탁월한 탄력성은 폴을 더 높이 쥐고 폴을 잡은 곳보다 더 높이 몸을 밀어 올릴 수 있게
해
주었고, 그 결과 큰 폭의 기록 향상을 가져왔다. 나무막대를 사용하던 초기의 기록은 생각지 않더라도 20세기 중반까지 겨우 4m 대에 머물던 장대높이뛰기 기록이 이제는 6m15cm(부브카, 우크라이나, 93년)에 달하고 ... ...
이전
1069
1070
1071
1072
1073
1074
1075
1076
10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