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서열
순번
순위
순차
질서
등위
스페셜
"
차례
"(으)로 총 1,253건 검색되었습니다.
“16년 전부터 매달린 엔진 드디어 날아...2021 누리호 향해 중단 없이 연구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1.30
길다), 3단용 7t 엔진 4호기가 설치돼 있다. 엔진 개발 및 제작과 동시에 시험이 매주 여러
차례
진행되고 있다. 팀장들의 상황도 다르지 않다. 조 팀장은 “올해 휴가를 3일 썼다”며 “그나마 하루는 가족 행사(제사)로 빠졌고 쉰 것은 이틀뿐”이라며 웃었다. 이들은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을 더욱 ... ...
발사 관계자들이 전하는 누리호 엔진 시험발사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어려움에 봉착해 굉장히 힘든 경우가 몇 번 있었다. 잘 아시겠지만 2016년 말에 한
차례
시험발사체가 연기됐을 때가 대표적이다. 문제가 우리 손으로 개발하다보니 문제가 생겨도 우리가 다 해야 되고. 전략 기술이어서 해외에서 기술 전수 받을 수도 없었다. 모든 걸 우리 손으로 다 해야 되는 게 ... ...
우주 전문가들 "한국도 이제 우주 주권 갖게 될 것"…지속투자 강조
2018.11.28
우주 주권을 갖는데 한발짝 더 다가섰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28일과 이달 4일 두
차례
소형 과학로켓 ‘우리새-2호’를 쏘는 데 성공한 권세진 KAIST 항공우주학과 교수는 “나로호 때는 1단 로켓이 러시아가 제작한 것이어서 비판도 많았다”며 “이번 시험발사체는 100% 국내 기술이라 자립하는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④차세대 발사체 개발 나서는 일본, 소형발사체 문 두드리는 중국
동아사이언스
l
2018.10.29
있다. “모든 사람이 우주에 접근할 수 있게 하자”는 모토로 1단 로켓을 개발해 두
차례
시험발사도 했다. 이 회사는 원래 엔지니어와 작가, 예술가 등이 모여서 시작됐다. 취미가 진지하게 발사체를 개발하는 기업이 된 데에는 과학로켓을 오랫동안 개발하고 발사해 온 일본의 과거 경험이 큰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있다는 말이다. 밤에 잠이 쏟아질 때 잠이 들지 못하면 한동안 잠이 안 오는 경험을 여러
차례
해서인지 더 와 닿았다. 기본휴식활동주기, 즉 울트라디언 리듬을 보이는 또 다른 생리현상으로 호르몬 분비가 있다. 특히 스트레스호르몬으로 불리는 코르티솔(cortisol)에서 뚜렷하다. 코르티솔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분리됐다. BMAA 역시 신경중독으로 인한 마비를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수
차례
동물실험에도 불구하고 리티코-보딕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동물은 한 마리도 없었다. 토착병의 원인이 다시 미궁에 빠진 것이다. 그런데 1986년 신경독학자 피터 스펜서가 BMAA로 원숭이에서 리티코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년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여러 동물군이 갈라지면서 독액을 지니는 종이 여러
차례
독립적으로 진화했을 것이다. 독액을 지닌 대표적인 동물들의 진화 시간표다. 약 4억3000만 년 전 등장한 전갈은 1750여 종이 독액을 지니고 있고 펩티드 종류는 10만여 가지로 추정된다. 비슷한 시기 나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소는 10㎡, 돼지는 0.8㎡, 닭은 0.075㎡ 이상의 사육면적을 확보해야 한다. 또 매년 한
차례
이상 수질검사를 받고 친환경 약품을 써야 한다. 닭의 경우 알을 많이 낳게 하려고 밤새 불을 켜놓아도 안 된다. 잔류 농약 및 항생제 검사도 받아야 한다. 10㎡면 방 하나 넓이인데 덩치가 커다란 소가 이 정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연구에 따르면 식물과 동물은 각각 한
차례
다세포성이 진화한 결과이고 균류는 십여
차례
독립적으로 다세포성이 진화했다. 따라서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해 알고 싶으면 식물이나 균류를 연구하는 것보다 진화적으로 동물과 가장 가까운 생명체를 들여다보는 게 나을지도 모른다. 미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지구에서 최소한 72억 광년 떨어져 있는 퀘이사 1ES 1553+113에서 나온 빛(X선)은 두
차례
뜨거운 WHIM(filament)을 지나갔다. 이 과정에서 산소 이온(산소 7가)의 전자가 특정 파장의 X선을 흡수했다(적색편이로 두 곳의 흡수 파장이 약간 다르다). 망원경으로 관측한 흡수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전체 가시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