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나"(으)로 총 1,738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밤하늘에 '오징어 성운' 떴다…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들동아사이언스 l2020.04.24
- 동영상 부문 은상은 ‘엄마! 하늘을 봐’를 출품한 한재은씨에게 돌아갔다. 이 작품은 꿈나무상도 동시에 수상했다. 엄마와 떠난 몽골 여행에서 바라본 하늘과 망원경으로 바라본 달을 영상에 담아 사랑하는 가족에 대한 따뜻한 마음을 표현했다. ... ...
- 전 세계 52개국 과학자 참여하는 코로나19 후각 연구 시작된다동아사이언스 l2020.04.24
- 사례가 많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두 연구자는 자료 수집을 위해 코로나19 환자와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고 있다. 설문지는 한국어를 포함해 20개 언어로 번역됐다. 설문지 작성에 약 10분 정도 소요된다. 이미 프랑스어 설문지는 약 8000명이, 영어 설문지는 약 3300명이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출판의 풍경을 바꾼 깨어있는 사람들2020.04.23
- of_department_Eng.htm -https://play.google.com/books/reader?id=suDnAAAAMAAJ&hl=en_CA&pg=GBS.PA1 -끌로드 베르나르의 생리학에 대한 글은 김우재의 《플라이룸》의 3장을 참고할 것. -Cobb, M. (2017). The prehistory of biology preprints: A forgotten experiment from the 1960s. PLoS biology, 15(11).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 ...
- 지구의 날 50주년 "지구 살리려면 원주민의 지혜 배워라"동아사이언스 l2020.04.22
- 살아남았다”고 말했다. 스노우체인지는 최근 스콜트 사미족의 일원인 파울리나 페오도로프가 핀란드에서 진행한 대규모 복원 프로젝트를 지원했다. 스콜트 사미족은 10년 넘게 수온 변화로 어류 개체수가 감소하는 현상을 지켜봤다. 특히 인근 지역의 산업 활동으로 물길의 경로도 바뀌었다. ... ...
- 음높이 따라 손에 '톡톡' 자극…청각장애인에게 정확한 음을 전달한다 동아사이언스 l2020.04.19
- 훈련을 받은 후 실제 음정(검은색 점선)과 비슷한 정도의 음(빨간색 실선)을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ETRI 제공 이준우 강남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일반적으로 청각장애인이 낼 수 있는 소리의 범위가 있는데 이번 훈련을 통해 그동안 내기 어려웠던 소리 영역을 낼 수 있는 자체가 획기적”이라고 ... ...
- 핵융합 시대를 여는 한국 기업들동아사이언스 l2020.04.18
- ITER 제작에 참여하고 있는 업체는 224개사다. 미래가 불투명한 핵융합 기술 개발에 나선데 대해 이들은 기술에 대한 확신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60대인 조 대표는 “핵융합 기술의 혜택을 살아있을 때 볼 수 있을까 생각한다”면서도 “좋은 기술이 적용되는 만큼 빠른 상용화가 가능할 거라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불확실성을 대비한 마음 관리법2020.04.18
-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챙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텅빈 우주 아닌 이유’ 중성미자 관측에서 단서 찾다동아사이언스 l2020.04.18
- 천체물리학과 우주론에서도 매우 중요한 현상이다. 물질과 반물질, 입자와 반입자가 만나면 ‘쌍소멸’이라는 양자역학적 현상으로 입자가 사라지고 에너지로 변환된다. 만약 우주 탄생 초기에 입자와 반입자가 대칭성을 가져 같은 수로 만들어졌다면 현대 우주에서처럼 물질로 된 천체와 은하는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해부학 시대의 도래2020.04.16
- 이슬람 의학의 이해,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제36권 3호(2015년 9월) 채옥희, 송창호,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해부학 업적과 사고, 대한체질인류학회지 제29권 제2호(2016). 쑨이린, 《생물학의 역사》 (송은진 옮김), 더숲. ※필자소개 이종필 입자이론 물리학자. 건국대 상허교양대학에서 교양과학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스터 트롯의 뇌과학2020.04.14
- 노래를 듣는 사람의 눈에서 어느새 눈물이 흘러내린다. 유튜브의 댓글을 보면 ‘역시 나훈아’ 같은 반응은 없고 ‘돌아가신 엄마가 너무 보고 싶다’ ‘점점 희미하고 멀어지는 엄마 얼굴이 그리워 눈물이 난다’ 같은 얘기가 대부분이다. 이런 게 바로 노래, 특히 트롯의 힘이 아닐까 하는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