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본
토대
근본
근거
터전
밑바탕
스페셜
"
기초
"(으)로 총 1,451건 검색되었습니다.
DGIST에 도대체 무슨일이…전임 총장들부터 IBS연구단까지 비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DGIST) UI 최근
기초
과학연구원(IBS)의 감사 보고서가 일부 언론을 통해 공개되면서 연일 비판의 화살이 쏟아지고 있다. 17일 KBS와 YTN사이언스에 따르면 IBS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과 일부 연구단에서는 기술직 직원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면접위원에 지인을 포함시킨 사실이 드러났다. 연구비 ... ...
AI·빅데이터 써서 신약개발 기간 절반으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예측과 신속 대처를 위한 약물 감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
원천연구정책관은 “향후 몇 년이 우리에게는 신약개발 분야의 새로운 도약의 시기가 될 것”이라며 “신약개발과 인공지능의 융합을 적극 지원해 바이오헬스 분야의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도록 정부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
2019.06.13
알아야 한다)을 모르면 1미터를 정확하게 정의할 수 없다. 미터법은 문명이다.
기초
과학을 모르면 문명의 재건이 필요할 때 우리는 할 수 있는 일이 없게 된다. 미터법 하면 떠오르는 나라가 영국과 미국이다. 이 두 나라는 일상에서 아직 미터법보다는 야드파운드법 또는 거기서 파생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팔다리는 너무 왜소한 기형적인 모습이다. 그럼에도 이는 엄밀한 과학적 사실에
기초
한 표현이다. 입술이나 손 같은 신체 부위를 맡고 있는 대뇌피질은 많은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고 정교한 움직임 정보를 내보내야 하므로 넓은 면적이 필요하다. 반면 등이나 허벅지, 팔뚝 같은 곳은 부분 부분에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
2019.06.06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
연구가 인간의 시간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다닌다. 과학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학자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염색체가 ‘스토커 단백질’ 만나면 암 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3
조절하는 단백질이 ‘스토커 단백질’로 작동해 떨어지지 않는 게 문제였다. 강석현
기초
과학연구원(IBS) 유전체항상성연구단 연구위원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 김하진 교수팀은 염색체 내에서 복제가 끝날 때 관여하는 단백질의 정체를 밝히고 결합과 분리를 통해 복제를 조절하는 과정을 규명해 ... ...
“자폐 영유아 눈 못 맞춘다는 건 편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경향을 분석해 자폐를 조기 진단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권미경
기초
과정부 교수 연구팀이 ASD 진단을 받은 영유아와 가벼운 ASD 증세를 보이는 영유아, 언어 및 발달장애를 지닌 영유아 등 만1~4세 영유아 616명을 대상으로 눈 운동을 관찰해 자폐아동 특유의 눈 운동 특징을 ... ...
[과학게시판] '미래기술과 시민의 삶'특별 강좌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5.27
컴퓨터공학부 교수, 남주한 한국 과학기술원 문화대학원 교수, 김건우 광주 과학기술원
기초
교육학부 교수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 8명이 미래 사회와 삶에 대해 강연한다. 강좌는 광주 교육연수원에서 오전 10시부터 2시간 30분 동안 진행된다. 시민자유대학 다음카페(http://cafe.daum.net/volkshochschule)에서 ... ...
"AI는 복지·민주주의 가치 담고 인간에 의한 통제 가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5.25
2013년 결의한 개인정보 보호 지침은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 개인 정보 보호법의
기초
가 됐다는 것이다. AI 연구를 주도하는 미국과 유럽 등이 권고안에 동조함에 따라 각 국가별로도 AI 윤리 원칙이 속속 제정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4월 AI 윤리지침을 발표한 EU 집행위원회도 이를 지지하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보이지 않는 기술자
2019.05.24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
연구가 인간의 시간인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다닌다. 과학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학자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