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동
작용
행위
실행
동작
행동거지
몸짓
뉴스
"
활동
"(으)로 총 8,702건 검색되었습니다.
흘러가는 생각 속 긍정·부정 감정 읽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활동
패턴을 머신러닝으로 학습시켜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예측 모델은 새로운 뇌의
활동
패턴을 대입했을 때 매 순간 느끼는 자기 관련도와 긍·부정 정서를 성공적으로 예측했다. 자유롭게 생각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동안 수집된 199명의 뇌 패턴에서도 유의미한 수준으로 두 지표를 읽었다. 제1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약탈적 학술지 퇴출시키려면
2024.04.11
보낸 결과였던 것으로 보인다. ● 디지털과 정량평가가 만들어낸 약탈적 학술지 학술
활동
을 핑계로 상업적 이익을 챙기는 '가짜 학회(학술회의)'의 문제가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2018년부터다. 과학·공학·인문사회 분야의 학술대회 개최를 전문으로 하는 '유령학술단체'로 알려진 ... ...
적색육 대신 멸치·정어리 먹으면 25년 뒤 75만명 목숨 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0
오메가3)이 풍부해 심장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양한 생리
활동
에 유익한 칼슘과 비타민B12도 풍부해 건강상 많은 이점을 갖고 있다. 연구팀이 사료어에 주목한 것은 저렴한 가격에 대량으로 수급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이다. 적은 비용으로도 건강하게 식단을 구성할 수 ... ...
달 표면 티타늄, 맨틀까지 가라앉았다가 분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0
통해 티타늄 등 무거운 희귀 금속이 달 형성 초기에 맨틀로 가라앉았다가 이후 화산
활동
으로 표면에 분출됐다는 사실을 밝히고 연구결과를 8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공개했다. 달은 약 45억년 전 지구에 작은 행성이 충돌하며 생긴 암석이 뭉쳐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 ...
식물 세포
활동
에 필요한 통기조직 발달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25일 국제학술지 '식물 생리학'에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통기 조직은 식물 세포의
활동
에 필요한 기체들을 기체 교환이 어려운 환경까지 수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주변 공기가 희박한 뿌리에서 발달이 관찰되며 실제 관련 연구도 뿌리에서 많이 진행됐다. 식물의 지상부 통기 조직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이크로바이옴과 단백질의 긴밀한 관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6
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인간 세포와 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
활동
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베이스히트(BASEHIT)'를 개발하고 검증했다. 이전까지 밝혀지지 않은 각 마이크로바이옴과 세포 간의 연결고리를 확인하기 위해 방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인간의 체내에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스라이팅'을 극복하는 방법
2024.04.06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
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 ...
[의학바이오게시판] 김용연 고대 의대 교수, 모교 의료원 1억원 기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대상 한국전문소생술, 한국형 재난의료지원, 외상간호핵심과정 교육 강사로도
활동
하며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의료 역량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 ...
[사이언스게시판] 한국푸드테크협의회 '2024 정기총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보유한 예비창업자와 창업기업, 극지 시료·데이터 활용 계획이 있는 중소기업, 극지연구
활동
을 지원하는 법인단체 등이 오는 30일까지 지원할 수 있다. 입주 기간은 기본 3년이며 최대 7년까지 머무를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극지연구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
외로운 여성, 달고 지방함량 높은 음식 원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싶은 욕구와 관련한 뇌 영역의
활동
이 증가했다. 식욕을 통제하는 것과 연관된 뇌 영역의
활동
은 감소했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외로움을 느낄 때 달고 열량이 높은 음식을 먹고 싶다는 통념에 대한 증거를 확인한 것은 흥미롭다"며 "그동안 외로운 사람들의 건강하지 못한 식욕에 대해 과소평가된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