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
대양
대해
해운
해사
해
뉴스
"
해양
"(으)로 총 2,170건 검색되었습니다.
명량해전 수중문화재, 해저 탄성파 기술로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도자기와 전쟁유물 등을 발굴한 곳이다. 지질연 포항지질실증연구센터 연구진과 국립
해양
문화재연구소는 이 지역의 수중문화재의 잠재적 탐사 가치를 확인하고 2017년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수중문화재 탐사기술 고도화 연구를 함께 추진하고 있다. 이번 탐사에 사용되는 연근해 3차원 ... ...
손 대신 지느러미 택했지만...자연은 손가락뼈 유지한 수중동물 택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뉴욕타임즈가 이달 8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육상에서 활동했던 동물을 조상으로 하는
해양
생물 19종의 지느러미 뼈 구조를 비교했다. 돌고래와 바다거북처럼 지금도 남아있는 동물과 지금은 멸종한 바다 공룡인 모사사우르스, 어룡 등 손이 지느러미로 변한 동물들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뼈의 ... ...
아·태지역 해상 내비게이션 미래를 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핀란드 바르질라사가 개발한 e내비게이션 시스템.
해양
수산부는 내달 8∼9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제4회 아시아·태평양 지역 e-내비게이션(e-Navigation) 국제 콘퍼런스'를 연다고 9 ... 참가 신청은 다음달 4일까지 콘퍼런스 홈페이지(https://e-navap.org)에서 받는다. [
해양
수산부 제공] ... ...
[8.6과기관계장관회의]내년부터 바다에서도 초고속 IT서비스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선박 입출항 정보 서비스,
해양
안전·기상정보 서비스를 차례로 선보이기로 했다. 또
해양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자를 확대하기 위해 2022년까지 국내 선박 1만5500척을 대상으로 단말기 보급을 확대하고 올해 하반기부터 해군장병에 대한 원격의료 시범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전 ... ...
바닷속 카멜레온 '복해마' 우표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유통이 불가능하다. 박종석 우본 본부장은 “이번 기념우표 발행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해양
생물의 생태적 기능과 가치를 떠올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DNA메모리·무인이동체 등 5개 기술 개발 민간전문가에게 전권 준다…6G도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등 코로나 이후의 과학기술 정책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며 “6G 통신 기술, 스마트
해양
교통 기술 등 미래핵심기반기술을 빠르게 확보해 각 분야에서 글로벌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 ...
[과학게시판]'수돗물 안전 어떻게 지키나' 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31
수 있다. ■ 정병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제1회 건강한 연구실로 선정된 한양대
해양
음향공학 연구실을 찾아 현판 제막식에 참여했다. 이번 방문은 건강한 연구실로 선정된 6개 연구실을 찾아가 격려하고 우수사례를 홍보하는 릴레이 현판식의 시작이다. 정 차관은 연구실 투어와 현판 ... ...
심해에서 1억년 생존한 미생물 발견…"최고령 유기체"
연합뉴스
l
2020.07.29
발견됐다. 2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와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일본
해양
지구과학기술원 연구진은 '남태평양 소용돌이'(South Pacific Gyre) 지역 해저의 퇴적층에서 1억150만년 간 휴면상태였던 미생물을 찾아낸 뒤 실험실에서 탄소와 질소를 공급해 깨우는 데 성공했다. 오랜 잠에서 깬 ... ...
[과학게시판] 바이오 디지털 뉴딜 현장 소통을 위한 간담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기술이전 우수기관’에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토교통부,
해양
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 특허청은 지난 23일 공동으로 ‘2020년 공공기술이전 사업화 로드쇼’를 개최하고 공공특허 기술이전 우수기관으로 재료연구소와 KAIST, 성균관대학교를 선정했다. 재료연구소는 ... ...
금세기말 아시아엔 큰 비 많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7
분석도 나왔다. 다카하시 히로시 일본 도쿄도립대 도시환경과학연구과 교수와 일본
해양
연구개발기구팀은 기후변화가 태풍이나 사이클론 등 열대성 저기압이 탄생하는 북서태평양의 기단(공기 더어리)인 ‘몬순기압골’을 발달시켜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지역에 강우량을 크게 늘리고 한반도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