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표
율
근지수
seng
뉴스
"
지수
"(으)로 총 1,180건 검색되었습니다.
잠이 보약… 코골이-근육통땐 옆으로 구부려 자면 ‘꿀잠’
동아일보
l
2015.09.25
모두 만족도가 떨어진다. 실제로 동국대일산병원에서 최근 진행한 ‘피츠버그 수면 질
지수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설문 결과 홍민 씨는 21점 만점에 8점, 효진 씨는 7점을 받았다. PSQI는 5점 이상부터 ‘질 낮은 수면’ 상태로 평가한다. 두 사람 모두 치료가 필요한 수준은 아니지만 개선점이 ... ...
슈퍼모델의 ‘이기적인 몸매’는 결국 ‘유전’ 덕분?
2015.09.16
유전학(Nature Genetics)’ 14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14개국 9416명의 키와 체질량
지수
(BMI)를 비교분석했다. BMI는 신장과 체중의 비율을 이용해 비만 정도를 추정하는 계산법으로 수치가 클수록 더 살이 쪘다는 의미다. 유럽 국가의 평균키는 171.1cm, BMI는 25였다. 흥미롭게도 평균키가 큰 국가가 ... ...
‘앤트맨’ 주인공, 맨이 아니라 앤트(개미)
2015.09.06
1위를 차지했다. 슈미트 교수는 곤충 150여 종의 침을 자신의 몸에 직접 찔러 고통
지수
를 정리한 것으로 알려지며 당시 유명세를 타기도 했다. 적의 서버를 파괴하는 ‘미친 개미’의 활약도 근거가 있다. 이 개미는 2013년 미국 남부에서 전자제품을 수없이 고장 내 물의를 일으켰다. 전선을 ... ...
뚱뚱한 언니, 날씬한 여동생 ‘자매의 법칙’ 있다
2015.08.31
발표했다. 프레드릭 아일슨 스웨덴 웁살라대 연구원 팀은 자매의 출산 순서가 체질량
지수
(BMI)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첫째 딸이 동생에 비해 키가 미세하게 크고, 몸무게도 많이 나갈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학술지 ‘역학과 공동체 건강(Journal of Epidemiol & Community Health)’ 26일자 ... ...
이상엽 KAIST 교수, ‘세계최고 응용생명과학자 20人’ 선정
2015.08.26
세계최고 과학자 선정은 지난해 생명공학관련 특허 영향력과 학술지 발표논문의 영향력
지수
를 참조해 선정했다. 이 교수는 그동안 미생물대사공학의 세계적 석학으로 500여 편의 학술지 논문을 게재했다. 580여 건의 특허도 등록 및 출원한 바 있다. 또 미생물을 이용한 화학물질 생산 시스템을 ... ...
임신부가 ‘수학의 정석’ 푼다? 엇나간 태교 문화
2015.08.02
PUFAS’라는 성분과 반응해 지능을 높아지는 유전자를 갖고 있다. 이런 아이의 경우 지능
지수
가 5.6~6.3 정도 올라갈 수 있다. 똑똑한 아이를 낳고 싶은 마음이야 부모라면 누구나 마찬가지일 것이다. 하지만 의미없는 수학 공부에 매달려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오히려 태아에게 독이다. 초등학교 이하 ... ...
“반역자가 돼야 과학을 할 수 있다”
2015.08.02
이를 짐작할 수 있다. 일례로 뚱뚱하고 날씬한 사람을 나누는 기준인 ‘BMI(체질량
지수
)’는 벨기에의 통계학자이자 천문학자이며 수학자인 아돌프 케틀레에 의해 1870년 만들어졌다. 사람을 몸무게만 가지고는 적당한지 판단할 수 없어 키를 반영한 공식을 고안했던 것이다. 그는 개인의 체중을 ... ...
분. 자. 요. 리.
수학동아
l
2015.07.28
날수록 캐비어가 좀 더 굵어졌다. 겔의 두께는 액체의 산성도를 나타내는 수소이온
지수
(pH)가 커질수록 얇아졌다. 물리화학자들이 실험을 해본 결과 pH가 5.3보다 커지면 겔이 얇아지다 못해 터져 버렸다. 가장 이상적인 결과는 pH가 약 3.3일 때였다. 이때 겔의 두께는 약 1.6mm였다. 이 두께여야만 ... ...
난치성 염증 질환, 패혈증 치료 가능성 열렸다
2015.07.27
내 약 70~80%가 사망했다. 반면 ERRalpha가 정상적으로 발현되는 생쥐의 골수를 이식하면 염증
지수
가 정상수준으로 회복되고 90% 이상 생존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ERRalpha가 활성화되면서 세포 내에 있는 염증 억제 단백질(A20)을 활동하게 해 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게 만든 것이다. 육 교수는 ... ...
파킨슨병도 고혈압 합병증?… 뇌혈관 막힐땐 발병 위험
동아일보
l
2015.07.24
처방을 받았다. 가장 시급한 것은 체중조절. 나 씨는 키 172cm에 몸무게 96kg으로 체질량
지수
가 32.4에 해당하는 고도비만이었다. 특히 내장 지방량이 128cm²(정상 103.8 미만)로 많은 복부비만인 것으로 확인됐다. 치료를 받기 위해 한국에 돌아온 나 씨는 친인척의 사업을 도우면서 회식도 자주 하는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