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대함
뉴스
"
위험성
"(으)로 총 1,123건 검색되었습니다.
석촌 싱크홀, 지하철 9호선 공사 탓?
2014.08.14
지표면만 살짝 파이는 ‘포트홀’과 달리 땅 한복판에 수 m 깊이의 구덩이가 파여 사고
위험성
이 크다. 그럼 싱크홀의 원인은 무엇이고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걸까. ● 도심 싱크홀의 원인은 대규모 토목공사 올해 2월 미국 켄터키 주의 자동차 박물관인 콜벳박물관 전시장 ... ...
“양수 검사 대신 혈액 검사로 99.9% 정확하게 태아 진단”
과학동아
l
2014.07.29
35세 이상인 여성의 임신)이 늘어나 다운증후군 등 유전질환을 앓는 아이가 태어날
위험성
이 커졌기 때문에 산전검사가 더욱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국내에도 올해 안에 이 검사가 도입될 예정이다. 오핀 부사장이 한국을 찾은 것도 이 때문이다. 오핀 부사장은 “한국에도 매년 60만 명이 ... ...
벼락을 붙잡을 순 없을까
과학동아
l
2014.07.13
‘공상과학’의 영역일 수밖에 없다. 혹여 이런 장비를 개발한다 하더라도 여전히
위험성
은 남아 있다. 한 줄기로 내리치는 것처럼 보이는 벼락이 사실 수없이 많은 갈래로 뻗어있기 때문이다. 벼락이 칠 때 눈에 보이는 것은 지름 2m 정도의 굵은 줄기 하나지만 벼락 사진을 보면 굵은 줄기 ... ...
임신부가 다이어트했다간 손주 정자까지…
과학동아
l
2014.07.11
아들과 손자의 정자 유전자에 문제가 생기며, 이 문제로 저체중아가 태어나고 2형 당뇨의
위험성
도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사이언스’ 1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새끼를 밴 어미쥐의 임신 후기에 음식섭취량을 제한하자 체중이 평균대비 20% 적은 새끼들이 태어난다는 점을 먼저 ... ...
미니돼지, 독성시험 새 모델로 낙점
과학동아
l
2014.07.08
통해 치료제 개발에도 나설 예정이다. 나노물질이 인체와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
을 밝히기 위해 2017년까지 100억 원의 예산을 책정하기도 했다. 이상준 안전성연 소장은 “국내 독성평가 연구의 선봉으로서 첨단 독성평가 기술을 개발하고 다양한 물질의 독성을 밝혀 국민의 ... ...
이제 유전자치료도 편집의 과학?
2014.06.30
둘 다 APOE4이면? 무려 12배가 된다. 부모가 하나씩 갖고 있을 경우(따라서 이들도 이미
위험성
이 네 배다) 내가 둘 다를 받게 편집될 확률은 (무작위일 경우) 25%다. 오죽했으면 2007년 제임스 왓슨이 자신의 게놈을 해독해 공개할 때 APOE 유전자만은 빼는 조건이었고 자신도 알려고 하지 않았다. 만에 ... ...
암 유전자 없이 iPS세포 제조 성공
과학동아
l
2014.06.24
국내와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특허 출원을 마쳤다. 유 교수팀은 외부유전자 대신
위험성
이 거의 없다고 알려진 저분자물질 3종류를 이용했다. 지난해 외부유전자 없이 iPS세포를 만드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한 중국 연구팀은 이보다 많은 8종류의 저분자물질을 이용했다. 연구에 참여한 ... ...
단식의 과학
2014.06.16
단기간이라도 주기적으로 단식하면 노화와 질병을 막는 장기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을 알려주는 증거가 많다. 24시간 단식하고 나면 모든 것이 급격히 변한다. 아무리 효과가 강력한 약물들을 한꺼번에 다량으로 복용한다 해도 결코 단식의 효과에는 미칠 수 없다. - 발터 롱고, 서던캘리포니아 ... ...
노벨상 받은 ‘iPS세포’, 암 일으킬 지도
과학동아
l
2014.06.11
지적해 왔다. 도정태 건국대 동물생명공학과 교수팀은 기존 방법으로 만든 iPS세포의
위험성
을 세계 최초로 실험적으로 증명하고 정확한 이유까지 규명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진은 야마나카 교수가 개발한 방법으로 체세포에서 iPS세포를 만들어 신경줄기세포로 분화시켰지만 일부가 iPS세포로 ... ...
늙은 줄기세포 고쳐 골다공증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4.05.26
이 줄기세포가 뼈모세포로 분화하는 양이 줄고 지방세포로 많이 분화하면서 골다공증
위험성
이 커진다. 하지만 아직까지 골수줄기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이 밝혀지지 않아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생쥐에서 ‘NF1-C’라는 유전자를 제거했더니 치아뿌리가 만들어지지 않고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