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뉴스
"
시스템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폐기물, 배터리 전극으로 99% 재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별도의 촉매제, 산화제, 유기용매 등을 사용하지 않고 물만 이용해 고효율의 재활용
시스템
을 완성했다. 아미노산의 일종인 글라이신을 초임계 상태의 물에 첨가하면 CFRP를 질소 원자가 도핑된 재활용 탄소섬유로 업사이클링할 수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업사이클링은 재활용품의 가치를 더욱 ... ...
욱한 마음 누르는 뇌 원리 찾았다…'감정 조절' 치료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보인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뇌에 작용하는 약물 효과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면 뇌
시스템
에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와 이해가 필요하다”며 “이번 연구는 감정 조절을 개선하기 위한 뇌 표적을 찾는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25년 만의 최대 규모' 대만 지진…과학자들 "추가 지진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고 말했다. 대만에는 지진 발생 후 몇 초 만에 전화로 지역에 경고를 보내는 조기 경보
시스템
이 있다. 마 교수는 "강진에 견딜 수 있도록 건물을 개조하고 섬 전역에 지진 관측소를 여러 개 설치했다"며 "건물 내부의 흔들림 정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 ...
[기자의 눈] 성공적인 '호라이즌 유럽' 참여의 조건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언급하며 든 비유다. 좋은 기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설명대로 선진화된 연구
시스템
을 습득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는 계기가 된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한국처럼 가입 제안을 받은 일본의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가입 카드를 만지작거리며 망설이고 있다는 전언이다 ... ...
[과기원NOW] DGIST, 다비오와 항공·위성 영상 분석하는 인공 신경망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퇴행성 신경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팀은 인공 결합쌍인 아다만탄-쿠커비투릴
시스템
을 추가로 사용해 두 소기관이 만나는 지점의 단백질 표지 및 분석 능력을 혁신적으로 높였다. 연구팀은 미토콘드리아-소포체 접촉 기작 관련 단백질을 식별하고 역할을 규명했다. 김기문 교수는 "세포 내 ... ...
한국형 GPS 개발 위해 기업과 맞손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신산업 분야에서 수요가 급증하는 PNT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22년부터 한국형 위성항법
시스템
(KPS) 개발을 추진 중이다. 약 3조 7000억원이 투입되는 역대 최대 규모의 연구개발(R&D) 사업이다. 과기정통부는 개발 과정에서 민간과 함께 활용분야를 고민하기 위해 이번 심포지엄을 열었다. ... ...
맞춤형 나노소재 빠르게 개발하는 AI 연구실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원하는 소재의 물성을 입력하면 요구물성을 정확히 충족시키는 나노소재를 합성해주는
시스템
을 만들었다. 이 AI 기술은 기존의 베이지안 최적화 방법에 얼리 스톱핑을 접목해 단순 자동화 장치에 대비해 소재탐색 시 효율성을 500배 이상 높였다. 베이지안 최적화 방법이란 특정 목적의 결과를 ... ...
뉴로모픽 컴퓨팅 구현?…디램·낸드 장점 합친 상변화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메모리의 소비 전력이 매우 높아 실용적인 대용량 메모리 제품과 뉴로모픽 컴퓨팅
시스템
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최 교수는 "기존 소자에서는 상변화 물질을 먼저 쌓고 전극 패턴을 새겼다"며 "패턴 크기를 줄이면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데 고비용의 패턴 공정이 필요하고 패턴 크기를 ... ...
바이러스 진단용 항체, 식물 이용해 생산…민감도 100배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높은 진단 시약으로 활용하기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식물 발현
시스템
을 통해 과산화효소와 항체를 하나로 융합한 단백질 생산 플랫폼을 개발했다.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이용해 과산화효소로 널리 이용되는 겨자무 과산화효소와 바이러스 항체를 담배류 식물인 니코티아나 ... ...
'호암상' 공학상 첫 여성…AI 전문가 이수인 워싱턴대 교수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세계적인 미생물학자다. 인간 등 일반 생물만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 분해
시스템
이 결핵균에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히며 새로운 치료법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 과학상 물리·수학부문 수상자인 남 연구원은 오랜 논쟁이던 '벨 부등식'의 실험적 위배 증명을 가능케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