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조
대비
견줌
비유
비김
비교분석
분석
뉴스
"
비교
"(으)로 총 7,050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세포로 만든 '바이오컴퓨터'가 게임도 했다
과학동아
l
2023.06.17
‘프런티어즈 인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doi: 10.3389/fsci.2023.1017235) AI(인공지능)와
비교
하는 의미에서 오가노이드지능(OI)이라는 표현을 도입한 것이다. ● AI 이어 오가노이드지능(OI)이 온다 OI는 컴퓨터와 뇌 오가노이드 사이에 뇌세포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입출력 장치를 연결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생각에 대해 '생각'해야 안 우울하다
2023.06.17
줄 아는 능력이 좋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우울증에 빠질 확률이 낮고
비교
적 잘 극복하는 편이다. 케임브리지대의 심리학자 존 테스데일(John Teasdale) 등 연구팀은 사람들에게 우울감을 유발할 만한 상황(예 친구가 약속에 늦게 오는데 나의 시간을 존중해주지 않는 것 같다는 느낌이 ... ...
[주말N수학] 2000년 동안 서구 문명 지배한 '유클리드 기하학'
수학동아
l
2023.06.17
A(수학자). "간단한 예시를 들어 유클리드 기하학과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비교
해볼게요.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라는 명제가 있어요 우리는 이 명제를 참으로 받아들이고 있는데요. 이를 증명할 때 가장 먼저 삼각형의 한 변을 기준으로 맞은 편 꼭짓점을 지나는 평행선을 그어요. 즉 ... ...
정부 “천일염 안전, 사재기 징후 없어...요오드-129는 검사지표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3.06.15
동안 적은 에너지를 방출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반감기 30년의 세슘-137과
비교
할 때, 같은 1g의 양이라도 요오드-129가 방출하는 방사선은 세슘-137에 비해 약 50경 분의 1 수준”이라며 “세슘-137이 부적합 기준치인 kg당 100배크렐(Bq/kg)이 검출될 때, 요오드-129는 검사를 통한 검출 한계치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우린의 재발견
2023.06.14
비섭취군에 비해 수명이 5% 더 길었다. 보충제를 먹기 시작한 시기가 달라 정확히
비교
할 수는 없지만 타우린의 효과가 상당한 것만은 분명하다. 논문을 보면 타우린을 섭취한 생쥐 역시 NAD+와 마찬가지로 각종 생체 지표가 나아진 결과 건강수명이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체지방 증가가 억제되고 ... ...
‘사람의 폐’ 닮은 센서로 미세먼지 주범 ‘이산화질소’ 실시간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3.06.13
아니라 빠른 기체 교환에서도 탁월한 강점이 있다. 분석 결과 기존의 이산화질소 센서와
비교
했을 때 가장 낮은 수준의 검출한계인 0.168 ppb(농도의 단위, 1ppb)와 가장 빠른 반응 시간 15초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이 센서는 레이저 공정을 이용했기 때문에 진공장비와 같은 복잡한 기반시설 ... ...
1회 치료에 20분...'꿈의 암 치료기' 세브란스 중입자치료기 본격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3.06.12
잡는 시간까지 고려하면 1회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20분이다. 양성자 치료기와
비교
했을 때 치료 예후가 더 우수한지는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홍채선 교수는 "현재 치료가 이뤄진 전립선암 환자의 독성 잔여 정도나 종양 완치율을 확인하기 위해선 4~5년 정도 시간을 ... ...
"'외로운' 암 생존자, 사망 위험↑"
연합뉴스
l
2023.06.12
'무-저-중-고'(no-mild-moderate-high)의 4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이들 4개 그룹의 사망률을
비교
한 결과, 외로운 정도가 크든 작든 외로움을 느끼는 암 생존자는 외롭지 않은 암 생존자보다 사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등 다른 사망 위험 요인들을 고려했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19로 인간활동 줄자 야생동물 활동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6.11
활동을 분석하고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 2019년의 연구 결과와 2020년의 연구 결과를
비교
했다. 그 결과 봉쇄 기간 동안 야생동물들의 이동거리는 최대 73% 늘었다. 이는 동물이 도로와 도로 근처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활동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러나 도심 지역이나 인구 밀도가 ... ...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었다?
과학동아
l
2023.06.10
나비와 관련된 역사 기록을 연구하고 나비를 부르는 각 지역 방언 이름을 수집하고
비교
했으며 한국 나비에 순우리말 이름을 지어줬다. 그가 직접 짓거나 정리한 248종의 우리말 나비 이름은 광복 후인 1947년 조선생물학회를 통해 확정됐다. 지역별 독특한 문화에 대한 그의 관심은 제주도의 방언과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