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뉴스
"
다만
"(으)로 총 4,797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25일부터 1급 감염병에서 제외...치료비 본인이 부담
동아사이언스
l
2022.04.15
7일 격리의무가 격리권고로 바뀐다. 이에 따라 재택치료 역시 안착기부터 중단된다.
다만
격리를 권고받은 확진자가 재택에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비대면 진료서비스는 유지된다. 정부는 “이행기 동안 대면 진료가 가능한 외래진료센터를 지속 확충해서 안착기 이후에는 동네 병·의원에서 ... ...
18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 해제…마스크 착용은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2.04.15
거리두기 해제 조치는 재유행 위험이 없는 한 계속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방역당국은
다만
새로운 변이가 출현하거나 겨울철 재유행 등으로 대규모 유행이 다시 시작될 위험성이 있는 경우 거리두기 재발동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새 변이 바이러스가 높은 전파력이나 높은 치명률, 백신의 ... ...
코로나 신규확진 12만5846명 감소세…18일부터 거리두기 전면 해제
동아사이언스
l
2022.04.15
거리두기를 전면 해제하기로 했다. 2020년 3월 거리두기가 도입된 이후 2년 1개월 만이다.
다만
마스크 착용 의무제도는 현행대로 유지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5일 0시까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2만5846명 늘면서 누적 1610만4896명이라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 중 12만5832명이 지역에서 ... ...
"모든 나라 기후공약만 지키면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 2도 제한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22.04.14
국가들이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역사적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2100년까지 전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1.5도로 제한하는 것은 힘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연구팀은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이 7~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1.5도라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30개월 이내로 ... ...
미국-중국, 과학기술 협력 '오월동주'
동아사이언스
l
2022.04.14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하며 경제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디커플링이 일어나던 시기다.
다만
이 시기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대유행과 겹치는 만큼 일시적인 환경 변화 문제인지 미중 디커플링의 영향인지는 불분명하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전체 분야에서 한국 ... ...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962명 38일만 세자릿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4.14
전날보다 52명 줄며 지난달 7일 955명을 기록한 이후 38일 만에 세자릿수로 집계됐다.
다만
사망자 수는 318명으로 전날보다 134명 늘어나 다시 사흘 만에 300명대를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4일 0시까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4만8443명 늘면서 누적 1597만9061명이라고 밝혔다. 지난 5일부터 1주간 ... ...
버려진 쌀겨로 친환경 퀀텀닷 LED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사용되기 위해서는 빨간색 말고도 초록색과 파란색 등 삼원색을 갖춰야 한다.
다만
초록색과 파란색을 내기 위해서는 퀀텀닷 입자 크기가 더 작아야 한다. 입자가 작을수록 불안정해져서 개발 난도가 더 높다. 퀀텀닷을 안정화 시키는 마지막 화학처리 단계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사라지지 않는 ‘천연 상술’
2022.04.13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할 이유는 없다. 가정용 세척·세정제를 사용해도 충분하다.
다만
세정·세척제를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깨끗한 물로 가습기를 충분히 헹구고, 건조시킨 후에 가습기를 사용해야만 한다. 가습기는 밀폐도가 높은 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만들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 ...
코로나 확진자 1000명 중 2~3명 재감염…국내서 3회 감염자 37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4.12
규모가 한국보다 상당히 컸기 때문에 재감염 추정사례도 많다“고 설명했다.
다만
한국도 2회 감염자 중 오미크론 유행 이전인 지난해 12월까지 재감염된 사례 발생률이 0.098%지만, 오미크론 유행 이후 0.296%로 약 3배 증가했다. 이 단장은 ”최근 확진자 규모가 증가하고 있어서 향후 재감염 사례 ... ...
국내서 코로나 오미크론 새 변이 XL형 첫 발생…방역당국 "확산 영향 없을 듯"
동아사이언스
l
2022.04.12
발생했다. XL 변이는 기존 오미크론 변이의 아형인 BA.1과 BA.2가 혼합된 바이러스다.
다만
정부는 XL 유입이 국내 유행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은 12일 열린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오미크론 재조합 변이 XL 1건이 국내 확진자에서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