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용"(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노벨물리학상, 기후와 물질 속 혼돈에서 질서를 발견해내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기후 연구에서 온실효과에 의한 지구 평균기온 상승 정도를 이야기할 때 중요한 척도로 활용되고 있다.과학사의 많은 위대한 업적들이 그렇듯 마나베 교수의 연구 또한 그 이전의 위대한 연구자들의 성과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마나베 교수가 재직하던 프린스턴대의 수학자 존 폰 노이만은 194 ... ...
- [기획] 2021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성관계 이후 코막힘을 치료하는 스프레이를 덜 뿌리도록 지시하는 등 이 연구가 실제로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이그노벨상은 ‘Ig(있을 법하지 않은 진짜·Improbable Genuine)’와 ‘노벨상’을 합친 말이다. 1991년부터 미국 하버드대 유머과학잡지 ‘별난연구연보’가 선정한 기발한 연구 결과에 ... ...
- [플라스틱 다이어트]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실과 천을 뽑아 가방과 운동화를 제작하기까지 꼬박 1년이 걸렸지요. 500ml 페트병 6개를 재활용해 운동화 한 켤레가 만들어지고, 페트병 10개로는 에코백이, 30개로는 가방이 만들어졌어요. 앞으로도 프로젝트 루프를 통해 다양한 제품을 만들 예정이에요. 폐플라스틱으로 만든 가방, 궁금하지 않나요 ... ...
- 스티브코딩쌤-마인크래프트 [400호 기념] 마인크래프트 어과동 마을제작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이용해도 되지만, 명령어를 쓰면 더 쉽게 건축할 수 있어요. 이번 화에서는 명령어를 활용한 건축법을 소개해요. 큰 구조물을 지을 때, 같은 블록을 일일이 채우는 대신 fill 명령어를 쓰면 건축할 대상을 한꺼번에 같은 블록으로 채울 수 있어요. 어과동 마을의 무대와 케이크는 많은 친구들이 ... ...
- [4컷 만화] 물방울로 지하철역 미세먼지 퇴치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5월 4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최종원 박사팀은 지하철역 내부 미세먼지를 줄이는 새로운 공기청정기술인 ‘정전분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정전분 ... 다수가 이용하는 지하철, 어린이집, 학교, 병원 등 다중 이용시설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도쿄올림픽 여자배구 4강 이끈 숫자대작전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첫 서브도 박은진 선수가 했고 이것이 첫 득점으로 이어졌어요.박은진 선수의 서브를 활용한 이 전략 덕분에 10:10 동점 상황에서 김연경 선수의 연속 3득점이 가능했지요. 터키 팀이 공을 막는 데에 급급한 나머지 공격하기 좋은 공을 우리 팀에 넘겨줬고, 김연경 선수가 그 기회를 잡아 쉽게 ... ...
- [기획] 부자 되기 2단계 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어릴 때부터 오래 투자해야 하는 이유는? 어릴 때 재테크를 시작하면 복리의 마법을 활용해 큰돈을 모을 수 있어요. 만약 12살인 세빈과 35살인 비서 큐브가 똑같은 100만 원을 연 평균 수익률이 8%인 복리 상품에 60살까지 투자한다고 가정해 보죠. 투자 초반에는 세빈의 이자가 그리 많지 않아요.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3화. 수학과 졸업하면 뭐할까?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보면 비극이지만, 멀리서 보면 희극인 것 같아요! 가까이서도 멀리서도 수학을 잘 활용하는 사람이 될 거예요. 저희 셋이 뽑은 수학 관련 전공자의 가장 큰 장점은 ‘논리와 구조를 바탕으로 생각하는 힘’이 있다는 거예요. 순수 수학만으로는 직업을 선택하거나 진로를 결정할 때 어려울 수 ... ...
- [과힉뉴스] 결함으로 오히려 강해지는 양자 재료의 초전도성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더 나은 초전도성을 보인다는 실험 결과를 처음엔 믿을 수 없었다”며 “이 현상을 활용하면 전류를 흘릴 때 에너지 손실이 없는 전기장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 ...
- [논문탐독] 소수의 자율주행차로 유령정체 해소한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도대체 왜 차가 막히는 거야?”고속도로에서 모두가 한 번쯤 생각해본 질문일 것입니다. 가장 단순한 대답은 도로 환경 때문입니다. 고 ...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통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 중이다. 딥러닝을 활용한 통행 정보의 생성 및 융합 연구를 하고 있다. kyjcwal@snu.ac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