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무
부담
책무
담당
임무
가중
맡은이
d라이브러리
"
책임
"(으)로 총 2,079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국내에서 레이저 핵융합을 연구하고 있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자광학연구부 임창환
책임
연구원은 국립점화설비연구소를 권투선수에 비유하여 “기초체력은 이제 탄탄히 다졌지만 아직 스파링이 남았다”고 설명했다.국립점화설비연구소는 1.8MJ이 넘는 에너지를 쏟아내기 위해 레이저 빔 192개를 ... ...
“과학의 매력은 어렵다는 것”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어렵다’라는 것이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바이오메드신경계 연구팀의 박문호
책임
연구원은 ‘박문호의 자연과학세상(이하 박자세)’이라는 아마추어 과학인 동호회를 이끌고 있다. 박자세에는 자연과학에 ‘미친’ 1000여 명의 회원들이 박 연구원을 중심으로 모여 있다. 정기적으로 대형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우리나라에서도 한중 해저터널 구축 방안으로 해중터널이 거론되고 있다. 한상훈 해양연
책임
연구원은 “대양 횡단 방법으로 해중터널이 비용 효율적인 측면이 분명히 있다”며 “많은 사람들이 힘을 합치고 머리를 맞대면 충분히 가능한 얘기”라고 강조했다.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횡단하는 일,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빙산이 충돌했을 때 외벽이 쉽게 깨졌을 가능성이 있다.철판을 서로 결합시키는 리벳에
책임
을 돌리는 의견도 있다. 제니퍼 후퍼 매카티와 팀 포이크라는 두 재료공학자는 2008년 빙산이 외벽을 스치면서 리벳이 떨어져나와 물이 들어갈 수 있는 틈이 생겼다는 내용이 담긴 책을 냈다. 이들은 수십 년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확보해 많은 연구자들이 좋은 연구결과를 낼 수 있도록 활발한 투자를 할 계획이다. 이
책임
연구원은 “대중화된 3T MRI는 응용을 중심으로 한 기초임상연구 지원을, 7T MRI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중심의 활용기술개발에 특히 중점을 둘 것”이라며 “MRI를 이용하는 연구자가 만족할만한 결과를 낼 ... ...
실패를 새로운 아이디어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실험계획과 결과를 발표했다. 자율성과 다양한 경험이 보장되는 대신 결과에 대한
책임
감은 필수였다. 교수님은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까지 세세하게 지적했기 때문에 미팅 시간은 긴장이 될 수밖에 없었다.교수님께서 항상 강조하던 것 중에 크게 공감하는 내용이 있다. 실패한 것처럼 생각되는 ... ...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팜유가 생각만큼 몸에 나쁘지 않다는 연구 결과도 나오고 있다. 임상동 한국식품연구원
책임
연구원은 “팜유에는 토코페롤과 같은 유용한 성분도 들어 있어 영양학적 측면에서 논란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가공치즈는 이 둘 사이에 있다. 제조 과정에서 자연치즈의 숙성을 중지시키기 때문에 ... ...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중인 위성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통보 제도를 확립한다는 취지다. 우주쓰레기 청소
책임
도 정할 예정이다.우주 쓰레기가 국제적 골칫거리가 된 것은 바로 위험성 때문이다. 초속 7~8km 속도로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10cm 길이의 파편인 우주 쓰레기는 위성 하나를 완전히 파괴시킬 수 있는 위력이 ... ...
막연한 꿈은 그만. 구체화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월급날만 되면 가슴이 먹먹한 게 CEO래. 안철수 씨가 쓴 책도 읽어보렴.” 무거운
책임
감을 이겨낼 만큼 스트레스에 강해야 한다. 세상을 내다보는 눈도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세상을 보는 눈을 기르려면 정보가 많아야 한다. 만일 어떤 로봇을 만들기로 결정하고 사업을 시작했는데, 이미 다른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쓰지만 지하수나 강물로는 양이 부족해 한계가 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곽희열
책임
연구원은 태양열 집열기를 이용해 바닷물을 뜨겁게 데운 후, 바닷물을 담은 통의 기압을 조절해 끓는점을 낮춰 물을 빠르게 증발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높은 산에서는 기압이 낮아 물이 저온에서 끓는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