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집세
땅값
소작료
구역
땅
d라이브러리
"
지대
"(으)로 총 1,37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산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관광지가 되어 인간생활에 휴식처를 제공한다. 일본 국립공원의 3분의 2이상이 화산
지대
에 설정되어 있는 것은 화산이 주는 혜택의 한 예가 된다.또한 화산이 활동할 때 분출된 화산재는 넓은 범위에 걸쳐 식생에 피해를 주기도 하나, 마치 나일강의 범람처럼 비옥한 농경지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 ... ...
대고원이 지구를 냉각시킨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분포 했다. 뚜렷한 계절이 없었으며 건기도 없었다. 북방 지역에서 침엽수림과 툰드라
지대
를 보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현재 북극해를 떠도는 해빙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고, 오늘날 그린랜드를 뒤덮고 있는 빙상은 찾아볼 수 없었다.과거 4천만년 동안, 특히 지금부터 1천5백만년 사이에 따뜻하고 ... ...
이상 기후로 지중해 돌고래들 떼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설명이다.또 돌고래들이 떠밀려온 해안이 발렌시아 알리칸테 발레아군도를 잇는 삼각
지대
인 것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곳은 관광객들이 몰리기로 유명한 곳이라서 해양오염이 또한 요인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강하게 불러 일으키고 있다. "이곳의 상황은 특히 지독하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도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전자공학과 대학원생). 이 소설은 컴퓨터천재인 주인공이 아버지의 죽음이후 버뮤다 삼각
지대
의 비밀을 밝혀 외계인으로부터 지구를 지킨다는 SF물로 독자들의 인기를 얻어 최근 단행본으로도 출간됐다. 이외에도 남인환 김현석 김도형 등이 컴퓨터문단에 작품을 싣고 있는데 컴퓨터나 과학과 ... ...
4. 1백년 후엔 해안선이 20㎞ 후퇴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실제로는 해안의 지형구조와 퇴적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해안 평야
지대
에서는 육상 풍화퇴적물의 축적, 개펄의 성장, 육지-해양 경계면을 따라 퇴적물이 쌓여서 해수면의 완만한 상승은 주목할만한 지형변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시화된 해안역(대부분의 우리나라 해안)에서는 ... ...
벽지 어린이들에게 과학의 꿈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국민학교 교사들이 과학기술문화 소외
지대
에 사는 벽지 어린이들을 윙해 조촐한 과학행사를 마련했다.과학교육에 관심을 둔 국민학교 교사들의 모임인 초등과학정보센터는 작년에 이어 두번째로 지난 4월20일 민통성 북방인 철원군 정연국민학교에서 '과학잔치'를 열었다.현대과학기술의 산물에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척도로 관측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지진 안전
지대
아니다우리나라의 경우는 다행스럽게도 주 지진대(main seismic belt)로부터 다소 벗어나 있고, 20세기 들어 지진으로 인한 심각한 피해는 없었다. 그러나 역사기록에는 상당한 지진 피해가 기록되어 있다. 예를 ... ...
칩차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평원
지대
와 레이바(Leiva) 파초(Pacho) 텐사(Tenza) 카케사(Càqueza) 후사가수가(Fusagasugà)등 계곡
지대
에 자리잡고 있었다. 가장 추한 인간의 모습을 하고칩차족은 스페인의 신대륙 정복당시 남미대륙의 북부지방에서 가장 막강한 부족사회를 이루고 있었다. 콜롬비아 남부에 위치한 산 아구스틴(San Agustín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살 수 없는 상태로 변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 중 스웨덴에 내리는 산성비는 영국의 산업
지대
에서 내뿜은 황과 질소 매연이 바람을 타고 이동해서 내린 것. 따라서 중동지역의 아황산가스가 급격히 증가할 때 그것이 얼마만큼이나 확산될지는 미지수다. 단 아황산가스는 대기 중에 머물러 있는 ... ...
「냉동동물」이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시베리아 도룡농이 언채로 살아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보고했다. 이 도룡농은 툰트라
지대
에서는 유일하게 육지에서 동면하는 양서류다. 이들은 영하 35℃ 이하에서도 목숨을 보존한다고 한다.또한 비단거북도 추위를 두려워하지 않는 특이한 파충류임이 밝혀졌다. 이 거북의 알은 대개 늦여름에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