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능"(으)로 총 2,29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여전히 수학자가 필요해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수명까지 진단할 수 있는 똑똑한 장치를 만들어 낸 것이지요.더 똑똑해진 전기전력망도 지능적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미래의 전력망인 스마트 그리드는 기존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이 들어간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 전기를 공급하는 회사와 이용하는 사람이 서로 정보를 교환합니다.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영웅의 아들 제1화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이뤄진 사회가 수백 년 동안 변화없이 굴러가지 않을 거라고 보았다. 그래서 인공지능에게 그 임무를 맡겼다.엔진 테러 직후 마고는 제다검의 아들을 보살펴주겠노라고 발표했고, 실제로 제하림이 부족함 없이 살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학교도 좋은 곳으로 보내준 덕분에 하림은 기숙사에서 살며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컴퓨터가 등장하던 1940년대부터, 아니 어쩌면 명제를 고민했던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우리는 ‘참’과 ‘거짓’으로 이뤄진 이분법 시대에 살고 있다. ... 계속 보시려면?Intro. 0과 1을 넘어서, 3진법 엔지니어링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 ...
- [Culture] 미래사회에도 인간이 필요할까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대해 질문을 던지고 싶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은 “인공지능과 인간성의 관계를 재조명하고 싶었다”고 전시 기획 의도를 밝혔다. “전시를 준비하면서 결국 인간 지성의 본질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봉착했습니다. 이번 전시회는 그 고민의 결과물입니다. 저희의 ... ...
- [과학뉴스] 마이크로파로 썼다 지우는 메모리 나올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연구팀이 인공지능 컴퓨터를 위한 차세대 메모리소자를 개발하기 위한 길을 열었다. 이기진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마이크로파 하나만으로 강자성 물질의 성질을 조절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지울 방법을 고안했다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6년 12월 14일자에 발표했다.기존 반도체 기술은 ... ...
-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Zero-shot Translation)’이라고 한다.구글 연구진은 이런 학습법이 효과가 있었던 것은 인공지능만의 ‘중간 언어(Interlingua)’가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구글의 논문에 따르면 제로샷 번역은 NMT에 모든 언어를 아우르는 중간 언어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람은 알 수 없지만 NMT가 ... ...
- [현장취재] 놀면서 배우는 행복한 로봇 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이어서 2년째 참가하는 중급부문 친구들은 좀 더 어려운 미션을 수행해야 했어요. 인공지능 자동차를 이동시키고 식량난을 해소시키는 등 9개로 주어졌는데, 2년째 로봇 교육을 받은 친구들이라서 그런지, 어려운 주제라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도전하는 모습이 정말 대단했어요.중급대회 경기장 ... ...
- 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아무리 봐도 지문 인식기가 없네. 그럼 지문으로 여는 건 아닌가 보군. 앗? 저기 저건 카메라? 아, 그래! 최근에 카메라가 홍채를 인식하자 스마트폰 잠금이 해제되는 모습을 광고에서 본적이 있어. 그렇다면 홍채가 열쇠?양쪽 눈도 서로 다른 홍채의 근육 모양!우리 눈을 가까이 들여다보면 큰 원 안 ... ...
- INTRO. 내 몸이 만능열쇠? 생체 인식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안녕, 난 세계 최고의 도둑 ‘괴도 키드’라고 해. 세상에 내가 못 훔칠 물건은 하나도 없지. 왜냐하면 난 누구도 갖지 못한 만능열쇠를 갖고 있거든. 이 만능열쇠만 있다면 세상에 열지못하는 문은 하나도 없다고 우하하~!그런데 최근 도둑들 사이에 요상한 소문이 퍼지고 있어. 박물관에 내 만능열 ... ...
- 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절대 변하지 않는 지문! 지문은 태아 상태로 엄마 뱃속에서 자라는 동안 손가락 피부가 만들어질 때 생기는 주름이에요. 각자의 피부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엄마 뱃속에서 함께 자라는 쌍둥이도 서로 다를 정도로 고유한 정보지요.이러한 사실은 1800년대 중반 처음 밝혀졌어요. 영국의 의사였던 헨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