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론"(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전략적으로 먹어라! 달콤한 게임, 촘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미국의 수학자이자 경제학자인 데이비드 게일이 만든 게임이에요. 게일은 게임이론, 램지이론 등을 연구하면서 촘프, 브릿짓 같은 보드게임도 만들었어요. 촘프는 ‘음식을 쩝쩝 먹는다’는 의미 그대로 초콜릿을 먹으면서 하는 게임이지만, 모양이 비슷한 블록이나 바둑돌같이 간단한 도구만 ... ...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원소들을 어떻게 조합해야 자기열량효과가 극대화될지 컴퓨터로 예측할 수 있다”며 “이론적인 예측에 따라 실제로 만들어보고 성능이 유지되는지 실험한다”고 말했다. 난제는 성능 유지다. 합금 내부의 다양한 원소가 특정한 결정 구조를 그대로 유지해야 자기열량효과가 나타나는데, 온도가 ... ...
- 네 감정을 맞혀볼까? 취조실에 나타난 표정분석기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원리부터 알아야 합니다.이모션을 포함한 표정분석기 대부분은 심리학자 폴 에크만의 이론을 바탕으로 합니다. 1970년대, 에크만은 표정이 세계적으로 보편적이며 문화권에 따라 다르지 않다는 찰스 다윈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실험을 했습니다. 사람들에게 표정 사진을 보여주고 어떤 감정인지 ... ...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프라이스의 공동 논문인 ‘동물 갈등의 논리’가 ‘네이처’에 게재됐다. 진화 게임 이론의 시대를 연 기념비적인 논문이었다. 전중환_evopsy@gmail.com서울대 생물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진화심리학 전문가이며 현재 경희대 ... ...
- Intro. 수학으로 펼친 상상, 우주는 어떻게 생겼을까?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빼꼼. 저 멀리 담 너머에 보이는 우주를 몰래 바라봅니다. 하늘을 수놓은 아름다운 별들의 모습에 눈이 초롱초롱해집니다. 호기심이 생긴 한 아이는 갑자기 우주가 어떻게 생겼을지 궁금해졌습니다. 재잘재잘. 옆에 있던 아이와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주고받아보지만 답이 쉽게 나오지 않네요. 누 ... ...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수는 있지만, 전체 모양은 끝내 알아내지 못할 수도 있다. 우주의 모양을 관측할 정도로 이론과 과학 기술이 발전할 수도 있지만, 얼마나 많은 시간이 흘러야 할지는 미지수다. 그냥 포기해야 하는 걸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으로 펼친 상상, 우주는 어떻게 생겼을까?Part 1.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수많은 산모가 산욕열로 사망했는데, 간단한 소독만으로도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이론이 받아들여지기까지 100년이 더 걸렸다. ‘위대하고 위험한 약 이야기’는 세계적인 독성학자인 저자가 이처럼 약이 없어 고통 받던 시절부터 평균 수명 80세를 바라보는 현재까지, 질병에 맞서 싸워온 인류의 ...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포도송이 같은 모양이라고 상상해 볼 수 있다. 무한히 갈라지는 우주양자역학은 기존 이론으로는 잘 설명이 되지 않았던 원자나 전자 같은 미시세계를 다루기 위해 20세기에 등장한 물리학의 한 분야다. 그런데 양자역학은 현상을 확률적으로 해석한다. 예를 들어 지우개와 입자가 방 안 어디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충격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flat-earther’란 단어가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는 사람’ 또는 ‘이미 잘못이 증명된 이론을 고집하는 사람’이란 뜻으로 실려 있답니다.“우리가 있는 곳을 알아냈어요! 우리가 있는 곳은 마리아나 해구 근처의 섬이에요!”오로라와 시원이가 팔 속에 들어 있는 통신장치로 오로라의 아빠에게 ... ...
- [Future] 서울~ 부산 20분, 꿈의 열차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데 성공했다. 시험 주행 트랙의 길이가 짧아서 가속장치를 300m밖에 사용하지 못했는데, 이론적으로는 2km를 더 가속시키면 시속 1100km에 도달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100년 전 꿈 되살린 일론 머스크진공 상태의 터널 안에서 달리는 열차에 대한 아이디어는 사실 100년도 전에 나온 개념이다. ‘해저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