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와집
개와집
곡
d라이브러리
"
와
"(으)로 총 2,259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술과 함께 수학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분수를 말한다.기약분수: 분자
와
분모의 공통인 약수가 1뿐인 분수를 말한다.약분: 분자
와
분모의 최대공약수로 나누어 분수를 간단히 표현한 것이다.특별인터뷰 마술사 선생님 김택수재미있는 수학마술을 보여 주신 김택수 선생님! 어떤 계기로 마술에 빠져들게 됐는지 선생님에 대한 궁금증을 ... ...
“로봇기술 한계, 사회 갈등은 인지과학으로 푼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흥미 있는 다른 누리꾼들과 공유하는 곳으로 만들려는 취지입니다.’로봇기술의 한계
와
사회적 갈등을 넘어설 수 있는 인지과학 연구에 관심이 있다면 한번 방문해보는 것도 좋겠다. 주소는 cogpsy.skku.ac.kr이다 ... ...
세계일주를 함께 할 조수는?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축하잔치를 하는 거야.""아! 그렇군요.
와
~! 그러고 보니 잔치 분위기인데요? 춤이 절로 나
와
요! 에헤라 디아~♬"아무것도 모르는 도형은 신이 나서 덩실덩실 춤을 추는 사이 허풍은 중절모를 들고 사람들 사이를 지나다니며 길거리 공연에 대한 돈을 받고 있다. 엥? 도형을 정말 조수로 뽑은 거 맞아? ... ...
사춘기 여드름보다 독한 성인 여드름 퇴치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온몸에 분포하며 특히 얼굴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데, 피지는 모공으로 배출돼 피부
와
털을 탄력 있게 한다. 하지만 피지가 너무 많이 만들어지면 피부 안에 쌓여 좁쌀 여드름이 된다.좁쌀 여드름은 점점 붉어지다가 시간이 흐르면 고름이 쌓여 노란색을 띠고 만지면 아프다. 바로 피부 안에서 피지를 ... ...
마음을 울리는 청아한 소리 양금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들어 악보가 제작되면서 양금은 현악기로 이뤄진 합주곡(현악영산회상)과 가곡, 단소
와
함께 하는 연주에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특유의 맑은 소리 덕분에 창작 국악곡을 연주할 때도 많이 쓰인다. 완전한 우리 악기로 자리 매김한 것이다. 만약 홍대용이 없었다면 전통음악에서 ...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거잖아."모자 장수가 말했다."그건 조금도 똑같지 않지! 그건 '나는 내가 먹는 것을 본다'
와
'나는 내가 보는 것을 먹는다'가 같다는 말이나 마찬가지야!"앨리스가 또 곤욕을 치르고 있군요. 애매하게 말을 했다고 모자 장수가 논리적으로 따지고 있네요. 그런데 이번에는 모자 장수의 말이 맞습니다.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맞게 고쳐 만든 역법이다. 해
와
달의 위치 변화가 표로 담겨 있어 이를 이용해 해
와
달이 언제 같은 자리에 오는지 계산했다. 칠정산내편에서는 원의 중심각을 1년의 길이인 365.2425°로 정했기 때문에, 해가 움직인 각도가 하루에 1°가 돼 계산하기 편리했다.반면에 칠정산외편은 2세기에 살았던 ... ...
봉황의 오색 울음소리 생황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갖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12율 4청성 황종(黃鍾)부터 응종(應鍾)까지의 중성음 12개
와
그보다 한 옥타브 높은 음인 청황종(淸黃鍾), 청대려(淸大呂), 청태주(淸太簇), 청협종(淸夾種)의 4음을 말한다.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데 한계가 있을 테니 말이다. 분자육종의 발달에 따라 GM 기술에 대한 정확한 이해
와
사회적 합의를 서둘러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에도 더욱 힘이 실릴 전망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유리한 장점도 있다”고 말했다.딸기 - 일본서 왔지만 점점 토착화딸기는 일본에서 건너
와
1960년대부터 재배되기 시작했다. 그래서 일본 품종을 국내 환경에 알맞게 개량하면서 점점 토착화시키는 방향으로 육종을 해왔다.딸기는 재배가 까다롭다. 같은 품종이라도 종자마다 온도에 대한 민감도가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