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정"(으)로 총 4,026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사실이 놀라웠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2018년 바이오블리츠코리아는 대전에서 열릴 예정이에요. 생물의 이름을 찾아 다양성을 지키고 멸종을 막는 활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든 참가 가능하답니다. 어과동 친구들도 내 손으로 새로운 종이나 미기록종 찾기에 도전해 보세요~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인류는 혹독한 자연환경에서 살아남아 문명을 발전시키고, 이젠 지구를 넘어 우주로 향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인류는 그저 생존하기 위한 발전에서 벗어나 우리를 ... 복사, 대류, 온실효과, 열역학법칙, 음파 등이다. 전자기학, 현대물리학 등 두 권의 시리즈가 이어서 출간될 예정이다 ...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학 교육과 관련된 체험 공간은 물론, 수학문화를 느낄 수 있는 공간도 운영할 예정이기 때문에 학생뿐만 아니라 누구라도 이용할 수 있다. 경남수학문화관 건립을 이끈 정인수 경상남도교육청 창의인재과 수학 담당 장학사는 “수학문화가 대중화되면 쉽게 바뀌기 힘든 시험 위주의 학교 교육도 ... ...
- [과학뉴스] 인공 자궁 속에서 음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투명한 비닐 백 안에 새끼 양이 들어 있어요! 무슨 일일까요? 미국 필라델피아 아동병원 연구팀은 100일 만에 어미 배에서 나온 새끼 양 8마리를 인공 자궁에서 4주 동안 ...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장치를 계속 개선해서 실제 미숙아를 대상으로 임상 시험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어요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금강 미호천에서 처음 발견된 미호종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6마리를 얻었어요. 앞으로 연구팀은 이 치어를 자연 생태계에 방류하기 위해 계속 연구할 예정이랍니다.하지만 하천이 오염되면 인공 증식으로 태어난 미호종개도 오래살지 못해요. 미호종개가 고향인 금강 미호천 주변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서식지를 깨끗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답니다 ... ...
- [과학뉴스] 뽀로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코끼리 코딱지(를 먹었다)”고 대답했고, “아이들을 대표해서 정상회담을 요청할 예정”이라고 하는 등 재치 있는 답변으로 인기를 끌었다. ‘뽀통령’이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은 크다. 한성희·유정희 분당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팀은 뽀로로가 수술에 대해 설명하는 가상현실(VR ... ...
- 스도쿠 잘하는 비법은 멍 때리기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곽승재 주장을 만나기 위해 찾은 퍼즐 국가대표팀 훈련장. 인터뷰에 앞서 기자도 국가대표 선수와 똑같이 제한시간 40분 동안 스도쿠 사전 테스트 문 ... 이 대회를 통해 퍼즐을 즐기는 사람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 1월 국가대표선발전이 있을 예정이라고 하니 관심이 있다면 지원해 보자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진수 단장 역시 “처녀생식이 아니라는 증거를 곧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논란3: ‘삭제’를 ‘교정’으로 착각했나? 에글리 교수 등은 ‘대립형질 결실(Allele dropout)’이 일어났을 가능성도 제시했다. 크리스퍼가 DNA를 부수고 이를 수선하는 과정에서 유전자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관측을 마쳤고, 업그레이드와 정비를 거쳐 2018년 9월 이후 3차 관측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우주에 대한 이해 폭 넓어져중력파 발견은 아인슈타인이 100년 전에 예측한 중력파의 존재를 직접 확인했다는 의미가 가장 크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여전히 우리 우주를 묘사하는 공고한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고정해 사용해왔으나, 앞으로는 볼츠만 상수 값을 1.3806X×10-23JK-1으로 고정해 정의할 예정이다. 에너지와 온도의 비례상수인 볼츠만 상수를 고정함으로써, 아주 낮은 온도나 높은 온도에서 온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이런 변화는 1983년 빛의 속도 값을 고정해 미터의 정의를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