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스템"(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다른 관측소와 달리 한국 연구팀은 남반구 전역에 수평으로 걸쳐진 네트워크 관측시스템을 이용한 만큼 관측에 훨씬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특히 하나의 천체를 24시간 연속으로 관측할 수 있는 KMTNet의 조밀한 관측 자료는, 킬로노바의 밝기 변화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심장을 거쳐 온몸으로 퍼지기 전, 독성물질을 거르고 영양분만 남기는 영리한 시스템”이라고 말했다. 그야말로 ‘건강하고 맛있는 피’만 남기는 셈이다. 간문맥을 따라 흐르던 피는 대동맥으로부터 파생된 간동맥과 만나고, 간세포 사이사이에 자리 잡은 모세혈관으로 보내진다. 모세혈관을 ... ...
- [과학뉴스] 생물인 듯 생물 아닌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세균의 유전체와 비슷한 크기예요.게다가 클로스노이바이러스는 단백질을 만들 수 있는 시스템을 거의 갖추고 있어요. 단백질의 기본 단위인 아미노산을 만들 수 있는 유전자를 25개 이상 갖고 있었지요. 또, 이 바이러스에서는 다른 바이러스에는 없는 새로운 유전자가 724개나 발견됐어요. ... ...
- [Focus News] 해수 온도 급상승 한반도 위험주의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닥치면 어떤 조치부터 취해야 할까. 반 소장은 “상황을 신속하게 알려주는 예보 시스템을 구축해 인명 피해를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2차 피해인 홍수도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 연평균 강수량은 약 1300mm다. 그런데 이중 70~80% 가량이 태풍의 집중 영향기간에 ... ...
- [Career] ‘밀당 로봇’으로 맞춤형 운동한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운동 로봇 ‘다이나믹 덤벨’을 개발한 상태다. 직렬 스프링 붙인 모터 제작모터 시스템의 핵심은 스프링이다. 연구팀은 일반 모터 뒤에 스프링을 직렬로 덧붙인 뒤 이를 로봇 팔에 접목했다. 사람이 로봇 팔을 붙잡고 밀거나 당기면, 이 힘의 크기에 비례해 스프링의 길이가 변한다. 로봇에 연결된 ... ...
- [과학뉴스] 스스로 고장 수리하는 ‘모듈러 로봇’ 등장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떨어뜨리고 새 모듈로 교체할 수 있다. 자가 치유의 비결은 인간의 신경계를 모방한 시스템이다. 이를 이용해 외부에서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스스로 연결 모듈을 끊거나, 새로운 모듈과 결합할 수 있다. 연구팀은 로봇이 발광다이오드(LED) 불빛을 외부 자극으로 인식하도록 설계했다. 그 결과 ... ...
- [Career] “사람도, 연구도 융복합에서는 최고가 되겠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확인하는 시스템을 개발했고, 스마트 자동차에 적용할 수 있는 차량 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연구도 진행했다. 로보틱스, 뇌 인지 전문가들과의 융합연구에서 나온 성과였다. 향후 우리나라가 전세계를 이끌 수 있는 연구 분야를 발굴해 CPS 글로벌센터와 같은 형태의 글로벌 센터 2~3개를 DGIST 내에 ... ...
- [Origin] 국제이론물리센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입자 물리학, 고에너지 분야에 국한됐지만, 최근에는 수학, 응집물질 및 통계물리학, 지구시스템물리학 등으로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2015년에는 생물물리학 분야도 생겼습니다. 연구소 내에는 고성능컴퓨팅(HPC) 장비 같은 전산장비 시설도 갖추고 있습니다. ICTP는 이론물리학 분야 연구자들의 국제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해박한 지식을 더해 도시를 움직이는 고층건물, 전기, 상하수도, 도로, 자동차, 철도 시스템, 네트워크 등 일곱 가지 요소에 대한 심층 보고서를 완성했다. 세부적으로는 철근 콘크리트, PVC 접합 유리, 탄소섬유 케이블 등 다양한 건축 자재와 시공 과정, 지하도를 들여다보고 우리가 발 딛고 선 이 ... ...
- 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생각한 거죠. 또한 연구팀은 시금치 잎에서 적외선이 나오면 스마트폰에 알림을 보내는 시스템도 만들었답니다.실험 결과, 폭발물이 있는 곳에 심어진 시금치는 잎사귀에서 적외선을 방출했어요. 이건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지요. 또한 이를 스마트폰으로 알려 주는 데 10분밖에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