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변화1] 가상 공간에서 오감을 느낀다! 확장 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 VR로 보고 오감으로 느낀다.“앗! 차가운 음료수 캔을 만지는 것 같아요!”지난달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은 가상현실 세계에서 뜨거움과 차가움을 느낄 수 있는 웨어러블 소자, ‘전자피부’를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을 넘어선 ‘확장 현실(XR)’ ... ...
- [변화3] 사람이 없어도 척척! 무인 사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감지 센서가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파악한 거지요. 무인으로 운영되는 식당도 있어요.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이탈리안 레스토랑 ‘메리고 키친’과 치킨 매장 ‘BBQ 헬리오시티점’은 사람을 만나지 않고도 주문하고 음식을 먹을 수 있어요. 키오스크나 테이블에 있는 태블릿 PC에서 원하는 메뉴를 ... ...
- [시사과학] 코로나19 어린이 브리핑 개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중앙방역대책본부장, 최은화 서울대학교의학대학 소아과학교실 교수, 김예진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답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어요. 과연 어린이들은 어떤 질문을 했을까요? ‘코로나19’라는 질병 이름은 누가 만들었나요?‘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라는 이름은 ... ...
- 슬기롭고 과학적인 전동킥보드 생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무려 6배(21만4451명)나 증가했다. 올해 4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객 수가 3월보다 약 6% 줄었을 때, 주요 전동 킥보드 앱 사용자는 오히려 70% 이상 늘었다. 요즘은 약속을 ‘킥세권(킥보드+역세권의 신조어)’에서 잡는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다. 전동 킥보드 ... ...
-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후기인 약 1만 년 전에 공통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김상화 서울대 수의대 연구원은 2018년 2월 제주도에서 발견된 큰머리돌고래 부검 결과를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큰머리돌고래는 제주 해안에서 흔히 발견되는 종이 아니며 부검 결과 위장에선 남해안에 분포하는 살오징어 ... ...
- [특집] 더 큰 클라우드가 온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멀티 클라우드 기술을 이용해 AWS 서울 데이터 센터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S Azure) 서울 데이터 센터를 모두 이용한다면, 한 데이터센터에서 문제가 생겨도 다른 데이터센터의 시스템으로 문제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국의 미래 클라우드 연구 국내에서도 미래 클라우드 기술 연구가 ... ...
- IT 기술 총집합 방구석 패션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영상처럼 보인다. 게임이야, 패션쇼야? AR 패션쇼홍혜진 디자이너는 2018년 봄·여름 시즌 서울패션위크에서 선보인 의상으로 런웨이를 증강현실(AR)로 꾸민 ‘AR 패션쇼’를 열었다. 증강현실이란 모바일 게임 ‘포켓몬고’처럼 실제 공간에 가상의 이미지를 더하는 기술로, 현실 공간에 가상의 ... ...
- [탐험대학]코로나19도 우리를 막을 수 없다! 한여름의 로켓 탐험기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어느 더운 여름, 멘토들과 함께 탐험하며 배우는 ‘탐험대학’의 로켓 탐험가들이 서울 혜화역에 모였습니다. 교과서, 뉴스에서나 볼 수 있던 로켓을 직접 만들어보기 위해서였는데요, 그 탐험기를 공개합니다! 첫 번째 미션, 로켓의 배경 지식을 탐험하라! 2020년 7월 18일, 로켓 탐험을 할 학생들은 ... ...
- [변화2] 우리 가상에서 만나! 공존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되나요?현재는 최대 4명이 거리에 제한 없이 가상 공간에서 만날 수 있어요. 지난해 10월, 서울 홍릉동에 있는 사용자가 약 16km 떨어져 있는 봉천동의 사용자와 가상 공간에서 만나 게임을 하는 데 성공했지요. 거리가 멀어질수록 데이터 지연이 생겨 소리와 영상이 맞지 않는 문제가 나타날 수 ... ...
- 추석 모듬전, 고소한 맛의 비결은?과학동아 l2020년 10호
- 70℃로 발연점이 낮아 부침이나 튀김 요리에는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임두원 서울대에서 고분자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기업에서 연구 개발을 하다가 과학기술부로 자리를 옮겨 과학기술 정책 기획을 담당했다. 현재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연구관으로 근무하며 일반 대중들에게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