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적"(으)로 총 3,7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게 명당, 통계로 찾는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목적이에요. 연령과 성별에 따라 구매하는 상품이 다르고, 출퇴근과 같이 특정한 목적을 위해 지나가는 거라면, 주변 가게에서 상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매우 낮기 때문이에요. 이곳에 가게를 내면 얼마나 벌 수 있을까? 지금까지 파는 상품에 따라 어떤 지역에 가게를 열면 좋은 지에 대해 ... ...
- 수학으로 두는 신의 한 수, 바둑수학동아 l2013년 10호
- 한다. 다시 말해 집이나 세력을 얻기 위해 돌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포석의 목적이다.수학적으로 완벽한 포석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돌을 두는 곳에 따라 얼마만큼의 힘이 전체에 미치는지를 수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컴퓨터 바둑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바둑의 ... ...
- 세상이 나를 벗긴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한 가지 정보를 더 ‘빼’간다. 바로 ‘주소록’이다. 스마트폰 내 개인정보를 빼가는 목적이 바로 ‘광고’이기 때문이다.개인정보 유출, 약일까 독일까나만의 고유 정보를 남이 안다는 것은 불쾌한 일이다. 난생 처음 보는 사람이 다짜고짜 자신을 향해 ‘김주황, 29세, 과학동아 기자’라고 ... ...
- [W5 코드 브레이커] 해커와의 한판 승부, 사이버 정보 전쟁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컴퓨터끼리 통신망을 이용해 수많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고, 그와 함께 나쁜 목적으로 다른 사람의 정보를 훔치는 해킹 범죄도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해커들은 어떻게 최첨단 보안기술을 뚫고 정보를 훔치는 걸까?해커들은 공격할 대상을 정한 뒤, 그 대상에 대한 정보를 모으기 ... ...
- 생태계 파수꾼 꿀벌, 도시 하늘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실업자처럼 어려운 상황에 처한 사람들을 돕고 파괴된 도시 환경을 살리는 것이 목적이라고 한다.프랑스 그랑팔레 미술관, 오페라 가르니에 등 파리 중심에 설치한 벌통 300개가 관광객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 도심이 깨끗한데다꽃이 워낙 다양하고 많아서 오히려 농촌보다 양봉이 잘 된다고 ... ...
- [W5 코드 브레이커] 인터넷과 함께 시작된 새로운 암호체계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컴퓨터 전문가들은 컴퓨터 사용자끼리 통신할 수 있는 기술까지 개발하고 군사 및 연구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아르파넷’이라고 불린 이 통신 시스템은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사용자들끼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인터넷의 출발점이 되었다.하지만 컴퓨터 전문가들은 이같은 컴퓨터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이끌고 으며, 2023년까지 인간의 뇌 속에 있는 시냅스 전체를 정교하게 모사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제 세포를 만드는 것은 아니고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가상으로 만든다. 일종의 인공뇌 또는 가상뇌인 셈인데, 또 하나의 뇌지도라고 볼 수 있다(과학동아 2012년 3월호 특집 ‘인공뇌’ 참조). ... ...
- 도사, 신선, 여래, 그리고 원숭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숨겨져 있는 걸까? (어떠한 의미라도 있기는 있는 걸까?) 무슨 목적으로 이러는 걸까? (목적이 과연 있을까?) 무질서는 과연 정말로 질서가 없는 걸까? 고도로 복잡해진 질서를 과연 무질서와 구별할 수 있을까? 무의미는 어떠한가. 과연 정말로 아무런 의미도 없는 것이 존재할 수 있을까? 존재 자체가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가장 정밀한 뇌지도를 완성했다. 그것도 구조와 네트워크를 모두 밝힐 수 있는 다목적 지도다. 바로 7T MRI로 완성한 ‘뇌 회백질지도(7T MRI Brain Atlas)’와 ‘뇌 백질지도(7T MRI Brain White Matter Atlas)’다.회백질지도는 뇌의 표면에 해당하는 회백질(신경세포의 세포체가 모여 있는 부위)을 정교하게 ..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주원인도 바로 산소결핍이다.바이오스피어2(바이오스피어1은 지구다)는 우주개발을 목적으로 1만 2700m2에 걸쳐 만든 거대 생태실험실이다. 안에는 인간 8명이 3800여 종의 동·식물과 함께 살며, 인간과 동물이 만드는 폐기물은 물론 물과 공기 모두를 내부에서 재활용했다. 그런데 실험 16개월째에 산소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