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립
자주
자활
자유
해방
분리
이탈
d라이브러리
"
독립
"(으)로 총 1,29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로 향한 차세대 항공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것이다. 기체제작 3사와 엔진 제작 2사가 용역업체가 돼 각기 X-30 기체와 추진시스템을
독립
적으로 설계했다. 그 결과로 얻은 총 여섯가지 형상을 검토해 새로운 X-30 기본형상을 설계했다. 이륙중량이 1백25t이며 길이가 45~60m 날개폭 15m인 2인승 X-30연구기는 가변사이클 스크램제트엔진과 로켓 엔진을 ... ...
한글코드 「조합형」으로 바꿔야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없다. 그러나 한글은 초성 중성 종성이 합쳐 하나의 글자를 이루는 한편 각각의 자소가
독립
적인 문자로도 기능한다. 가령 데이터를 검색할 때 받침이 'ㅇ'인 글자를 모두 찾아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완성형 코드에서는 이러한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국어사전에는 '가'다음에 '각'이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과감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독립
적인 연구소를 운영하면서 훌륭한 연구 업적을 쌓아왔다.기초과학 분야에서의 단백질연구의 중요성은 그동안 세계적으로 크게 부각돼 왔다. 그 증거로 1954년 이후 매년 평균 1명씩의 노벨 화학상 또는 ... ...
모로코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서 있다. 하산탑 정면에는 모하메드 5세의 묘가 있다. 그는 프랑스로부터 모로코를
독립
시킨 사람이다.라바트에서 훼즈로 가는 길은 숲이 매우 아름답다. 그 숲은 모두 코르크나무로 덮여 있었다. 8년마다 껍질을 벗겨 유럽의 포도주 생산국에 수출하는 데 모두 국유림이다. 잘 닦여진 아스팔트길을 ... ...
첨단장비로 범죄와 싸운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담당할 전문양성기관 설립도 고려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외국에서는 법과학이
독립
분야로 정착돼 있으나 국내에서는 서울대를 비롯한 일부 대학에만 의과대학내에 법의학과가 있는 실정. 아울러 대부분의 장비를 외국에서 들여와 쓰고 있는 것에도 눈을 돌려 국내 과학계가 수사장비의 국산화에 ... ...
2. 공간이동이 자유롭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앞으로 노트북은 데스크톱의 모든 기능을 수용하고 있어 데스크톱에 의존하지 않는
독립
(stand alone)시스템의 역할을 충분히 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국내 20여개의 업체에서 벌어지고 있는 성능 및 가격경쟁은 데스크톱이 지난 몇년간 국내시장에서 보여준 가격덤핑과정과도 유사하게 진행된다면 ... ...
톱 쿼크 좇는 슈퍼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연결해서 강력한 병렬처리컴퓨터를 만드는 일부터 시작했다. 이 컴퓨터는 분석대상의
독립
적인 부분을 각각 별도의 프로세서에 할당함으로써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켰다. 즉 병렬형 컴퓨터들은 풀 문제를 수백개의 작은 부분으로 쪼개 계산함으로써 속도를 높인다. 이는 ... ...
호랑이와 악어의 사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벵갈 카스피 자바 시베리아(한국 만주 몽고)호랑이 등이 있다. 호랑이는 사자와 달리
독립
생활을 하고 사냥도 혼자서 한다. 사냥감이 지나가는 길목이나 사슴 등이 물을 먹으러 오는 연못가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순간적으로 덮쳐 잡는다. 멧돼지 사슴 영양류를 즐겨 먹으나 배가 고프면 원숭이 뱀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학사 석사 박사과정이 설치돼 있다. 2년전까지 KAIST 학사과정은 과학기술대학이라는
독립
대학이었으나 지금은 KAIST에 통합돼 있다. 통폐합 당시 이런저런 잡음이 있었지만 이제는 외관상 통폐합이 완료된 상태다.KAIST학사과정 학생들은 전원 컴퓨터를 다루게 된다. 일반대학에서 흔한 결강은 꿈도 꿀 ... ...
고향 찾아가는 희귀한 말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종의 수보다 월등히 많으면 수가 적은 종의 동물들은 수가 큰 종의 무리족으로 스며들며
독립
된 종의 동물형태는 사라져버리게 된다. 수가 많은 종이 별 변화없이 유전학적 혼합체를 흡수하는 것이다.두 종의 말에 얽힌 사례는 바로 이러한 경우다. 만약 펄저왈스키말의 무리가 보통 말들에 근접하면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