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신"(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공룡의 종류는 오르니토미무스(Ornithomimus)였다. 사람보다 조금 큰 공룡으로 이빨이 없는 대신 각질로 된 부리를 가졌으며, 지금으로부터 약 7650만 년 전에서 약 6650만 년 전까지 북미 대륙에서 살았다. doi:10.1126/science.1225376 깃털은 오르니토미무스의 목과 등 부위에 보존돼 있었다. 살아생전에는 온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 12] 버는 만큼 써라! FFP 규칙수학동아 l2018년 12호
- 2011년 6월 도입한 FFP 규칙입니다. 쉽게 말해 구단의 수입을 웃도는 빚을 지는 무리한 투자 대신 구단의 수입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적정수준의 예산만을 사용하게끔 만든 규칙이지요. 즉 선수의 이적료와 연봉으로 나가는 금액이 수익의 일정 비율을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실제로 이 규칙이 적용되기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출렁이며 다른 차원으로 가는 입구가 생겼죠. 그곳에는 화산의 모습은 온데간데없고, 대신 광활한 바다와 메마른 해안이 펼쳐져 있었어요. 수호가 말했어요.“여긴 와본 곳 같은데…, 아! ‘대기의 탄생’을 설명할 때 들렀던 원시 바다네. 여길 왜 또 온 거지?”“이미 와봤다니 잘됐구나. 이 게임을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복구하는 데 실패했다. 다행히 같은 해 11월, NASA 전문가들은 고장 난 반작용 휠 2개를 대신해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방법을 찾아냈다. 태양이 뿜어내는 광자의 압력을 이용해 망원경을 고정시키겠다는 계획이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에는 태양전지판이 달려 있고,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날갯짓을 많이 하는 청둥오리, 수리부엉이보다 깃대의 너비가 더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대신 날갯짓을 많이 해 위아래로 자주 움직이는 새는 깃가지가 표면을 더 빽빽하게 채우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깃털 사이로 빠져나가는 공기가 적을수록 비행 시 양력을 크게 받을 수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모든 사람이 수학을 해야 한다는 것도 아니고 무조건 수학이 답이라고 말하지도 않는다. 대신 학문을 순수하게 좋아하는 사람들의 열정과 고민을 함께 나누고, 그런 사람들이 자유롭게 날개를 펼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그래서 ‘수학 잘하는 법’을 읽고 있으면 괜히 수학 공부가 하고 ... ...
- 전해진 서울시립대 총장장학생 - “나만의 공부 방법을 만들어 보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스스로 해결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며 “오답 노트라는 형식에 집착하는 대신 오답의 해법을 스스로 찾고 문제에 들어있는 개념을 이해하는 데 집중하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전 씨는 똑같은 문제집을 두 권 산 뒤, 한 권은 해설을 작성하는 데 쓰고, 나머지 한 권은 문제를 다시 ... ...
- Part 3. 패딩은 왜 깃털을 사랑하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깃털이 밖으로 빠져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차장은 “세탁은 드라이클리닝 대신 물빨래로 하는 게 좋으며, 이 또한 가능한 하지 않고 겉의 원단만 닦아주는 것이 가장 좋다”며 “깃털에는 본래 일정량의 기름 성분이 있는데, 물빨래를 할 경우 이 기름 성분이 씻겨 나가기 때문”이라고 ... ...
- part 3. 최석정의 10차 라틴방진은 ‘아벨 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한상근입니다. 라틴방진이 왜 ‘라틴’방진인지 아시나요? 오일러가 아라비아 숫자 대신 라틴어를 써서 라틴방진을 연구했기 때문이에요. 2006년에 최석정이 오일러보다 먼저 라틴방진을 연구했다는 게 알려졌는데, 좀 더 일찍 알았으면 세계 사람들이 ‘최석정 방진’이라고 불렀을 거예요 ... ...
- [가상인터뷰] 장내미생물이 정신에도 영향을 미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만드는 데 힘을 쏟다가 다른 미생물과의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는 거야. 연구진은 대신 인간의 기분이 장내미생물에 영향을 받는 이유는 장내미생물의 몸에서 만들어지는 대사활동의 부산물 때문이라고 주장했어. 장내미생물이 만드는 물질 중 일부가 우연히 뇌에 영향을 미쳐 인간의 기분을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