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긴"(으)로 총 3,4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다른 이유가 있는 걸까요?개구리는 가족을 만날 수 있을까?◀ 개구리는 겨울 동안 긴 잠에서 깨어나 봄이 되면 짝짓기를 하고 알을 낳는다.‘청개구리’ 이야기를 알고 있나요? 평소 엄마 말을 안 듣던 아들 청개구리는 엄마가 죽자, 엄마의 유언만은 잘 따르기로 하고 냇가에 무덤을 만들지요. ... ...
- [수학뉴스] 나 그렇게 뚱뚱한 공룡 아니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다른 공룡과 비교했을 때 몸무게에 비해 부피는 턱없이 작았습니다.이를 이상하게 여긴 연구팀은 삼차원 골격모델을 토대로 몸무게를 다시 추정하기로 했습니다. 먼저 남아 있던 골격을 레이저로 스캔한 뒤, 3차원 볼록 다각형으로 뼈가 남아 있지 않은 부분을 메우는 방법으로 골격 구조를 ...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초은하단이다. 우리은하가 속해 있는 처녀자리 초은하단의 모양은 길고 넓적하다. 긴 쪽의 길이가 1억 광년이고 짧은 쪽은 1000만~2000만 광년, 두께는 300만 광년 정도다. 이런 평평한 형태(Supergalactic Plane) 안에 전체 은하의 3분의 2가 모여있고, 나머지 3분의 1은 그 주위에 구 모양으로 퍼져있다. 실제로 ...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이런 비활성화다. 그런데 XIST가 적게 발현되면 X염색체 두 개가 모두 활성화돼 이상이 생긴다.‘HOTAIR’라는 lncRNA도 주목할 만하다. 이 RNA는 자신이 위치한 염색체가 아닌 다른 염색체의 유전자를 억제한다. 12번 염색체의 HOXC 유전자에서 전사돼 2번 염색체에 위치한 HOXD 유전자를 억제한다. 혹스(HOX) ... ...
- 중력파 검출, 초읽기 들어가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때문이다. 일부 블랙홀이나 펄사 쌍성계에서 오는, 주파수가 0.1mHz에서 0.1Hz 사이인 긴 파장 중력파는 아예 지구에서 검출하기 어렵다.리사는 위험도가 큰지라 본격적인 가동을 앞두고 올 11월 길잡이 위성부터 발사한다. 작은 규모의 검출기를 탑재해 시험해보기 위해서다. 원래 리사는 미국 ...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H2A, H2B, H3, H4 히스톤이 두 개씩 결합한 팔량체로, 150여 개의 DNA가 이 팔량체에 감긴다. 이외에 H1 히스톤은 DNA가 들어오고 나가는 곳에서 실패를 고정시키는 집게 역할을 하고, 80여 개의 연결 DNA는 뉴클레오솜과 뉴클레오솜의 사이를 잇는다. 이런 뉴클레오솜이 촘촘히 뭉쳐 염색체가 된다. 전사를 ... ...
- 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안녕하세요. 저는 재이라고 해요. 윤재이. 고등학교 2학년이에요. 물론 5년째 2학년이긴 하지만.아~, 아니에요. 공부를 못해서가 아니라…. 저는 평범한 학창생활을 경험해보지 못하고 죽었거든요. 친구도 있고 선생님이 내 이름도 불러주는 그런 평범한 생활. 제가 귀신치고 너무 수줍음을 많이 타죠? ...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가라앉는 부분도 많거든요.그리고 어차피 인공섬을 물 위에 띄우기 위해서는 물 속에 잠긴 부분에 거대한 공간이 있어야 해요. 깊이와 파도에 따라 부력을 조절해 인공섬의 높이를 적당히 맞춰야 하지요. 이 공간을 이용하면 인공섬 아래에 특별한 공간을 만들 수 있어요.사실 인공섬 아래는 사람이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5의 일반적인 패턴, 즉 맨 왼쪽 상단에는 아래 위로 길쭉한 선이 있고 그 위에 가로로 긴 선이 올려져 있으며 그 아래 어디쯤에는 둥근 곡선이 있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학습이 완료된 뒤에는 처음 보는 필체라도 숫자 5라는 걸 알아차릴 수 있다. 초기 인공신경망은 컴퓨터 성능의 한계 때문에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수천 년간 충실하게 봉사해 온 낙타에게 그 책임을 지울 수는 없을 것이다. 아마도 긴 진화적 역사를 통해서 병원체에 점차 취약해진데다가, 수많은 동물을 인간의 입맛에 맞게 길들였으며, 복잡한 도시생활을 하는 인류에게 신종 감염병의 유행은 어쩌면 피할 수 없는 숙명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