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곧"(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보이저 호, 태양계를 떠나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0호
- 977년에 발사된 태양계 탐사위성 보이저 1호와 2호가 마침내 태양계의 가장자리에 도달해 곧 태양계 밖으로 나아가게 된다는 소식이에요. 보이저 1호는 탐사선 중 최초로 목성과 토성에 도착해 자세한 영상을 보내왔고, 보이저 2호는 유일하게 천왕성과 해왕성을 방문하기도 했답니다. 두 탐사선은 ... ...
- [Math Tour] 피사의 사탑 기울기를 재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수직으로 빛을 비췄을 때 생기는 그림자를 정사영이라고 하는데, 그림자가 생긴 방향이 곧 이쑤시개가 가장 많이 기울어진 방향이다. 따라서 90°에서 이쑤시개와 그림자 사이의 각을 빼면 이쑤시개가 얼마나 기울어졌는지 알 수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사탑의 꼭대기에서는 땅에 수직으로 빛을 ...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돌아가 먹고 놀더니, 보기에 거북할 정도로 살이 쪄서 제대로 움직이지도 못하더군. 곧 새로운 이야기로 멋진 쿵푸를 보여 줘야 할텐데! 쯧쯧…, 할 수 없지. ‘무적의 5인방’에게 포를 도와 줄 방법을 찾아보라고 하는 수밖에. 과학, 애니메이션을 뒤흔들다!“타이거리스, 몽키, 바이퍼, 크레인, ... ...
- 진실 넷! 행운의 숫자는 없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당첨금과 당첨금을 받을 확률을 곱해 모두 더합니다. 복권의 기댓값이 크다는 것은 곧 당첨금을 받을 금액이 크다는 것을 뜻하기 때문에, 기댓값이 큰 복권일수록 좋겠죠. 하지만 일반적으로 기댓값이 크면 클수록 확률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당첨식 복권이나 즉석식 복권은 기댓값이 결정돼 ... ...
- 우주에서도 깨끗한 물 마신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우주에서 생활하는 우주인이 깨끗한 물을 마음껏 이용하기란 쉽지 않다. 그런데 화학자들의 도움으로 이런 일이 가능하게 됐다.지난 9월 14일 미국 아이오와주립대 ... 했고, 무중력 상태에서도 쓸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곧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쓸 예정이다 ...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성분이 들어간 화장품도 출시되고 있다. 줄기세포는 살아 있기 때문에 화장품에 넣으면 곧 죽는다. 때문에 줄기세포 화장품에는 줄기세포 배양액 성분 중 피부재생 효과가 뛰어난 성분만 유전공학 기술로 만들어 넣는다. 아직 안전성과 효과가 모두 밝혀지진 않았지만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 관련 ... ...
- 과학적인 미래 연구과학동아 l2011년 10호
- 포장, 저장 등 모든 단계에 석유를 이용한다. 화석연료는 매장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곧 고갈된다. 지금과 같은 경작 방식에서는 석유가 고갈되면 식량 생산이 힘들다. 따라서 석유에 의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식량을 수확할 수 있는 농업 방식 개발이 필요하다. 미래 식량난에 대비한 농업 ... ...
- 세계적인 깡통 예술가, '캐니 조아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쓰인다.“네~, 저는 지금 프랑스의 유명한 캔 제조사인 주식회사 빈통에 와 있습니다.곧 이 곳에서 세계 캔 쌓기 대회가 시작됩니다. 먼저 가장 강력한 우승 후보인 세계적인 깡통 예술가 캐니 조아스 씨를 만나 보겠습니다.”캔 쌓기 대회가 전세계 TV에 생방송되는 역사적인 순간…. 그런데 이게 ... ...
- 제대로 알고 먹자, 영양표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적게 들어 있다는 의미지요. 아직은 시행된 지 얼마 되지 않아 표시된 제품이 적지만 곧 신호등 표시제를 많은 제품에서 볼 수 있게 되겠죠? 나에게 딱 맞는 간식, 영양표시로 골라요!영양표시 방법을 잘 알면 자신에게 알맞은 식품을 고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비만일 경우, 일반 우유 대신 ... ...
- 뇌 흉내 내는 컴퓨터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생각할 수 있는 컴퓨터가 곧 나올 수 있을까.최근 인공 뇌 개발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다. 지난 4월에는 미국 남가주대 연구팀이 탄소나노튜브로 작동하는 시냅스 회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6월에는 미국 피츠버그대 연구팀이 쥐의 배아에서 뽑은 뇌세포를 단백질체에 이식해 12초 동안 기억을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