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d라이브러리
"
DNA
"(으)로 총 1,511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1백주년과 함께 밝혀진 생명과 물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11
거친 후 핵 밖으로 전달된다. 이후 tRNA가 mRNA의 유전암호를 번역해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DNA
가 관여하는 놀라운 과정에 노벨상의 업적이 숨어있다. (2) 입자 발견과 노벨상우주를 이루는 물질의 궁극적인 모습은 무엇일까. 한때 물질을 이루는 단위라고 생각했던 원자도 핵과 전자로 나눠지고, 핵도 ... ...
인간 장수유전자 첫 발견
과학동아
l
200110
신빙성을 더한다”라고 밝혔다.노인병 전문의인 토마스 펄스 박사는 이번에 발견된
DNA
부위를‘장수 촉진로켓’이라 부르며“질병에 강한 이 장수 유전자의 도움을 받으면 정해진 수명보다 20년을 더 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2 활용 : ③
DNA
임무수행 동영상으로 즐긴다]
과학동아
l
200110
어렵다. 앞으로 SPM은 단백질 내의 상호작용을 푸는 열쇠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DNA
나 단백질과 같이 앞으로 우리가 풀어야 할 생명 과학 문제는 참으로 방대하다. 이 과정에서 SPM을 비롯한 나노과학이 생명과학의 문제를 푸는 제1도구가 되지 않을까 ... ...
고래의 조상은 소 · 돼지와 사촌뻘
과학동아
l
200110
수백만년 전 네발 달린 육지 동물에서 진화했다는 사실은 이미 널리 인정돼 있다. 최근의
DNA
검사는 고래와 하마가 같은 조상에서 진화했다는 사실을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현생 고래의 진화 중간단계에 해당하는 육상동물 화석이 발견되지 않아 어떤 동물에서 진화했는지 확실히 알 수 ... ...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
과학동아
l
200110
변화된 나노튜브 SPM을 이용해 나노미터 단위에서 바이오틴과 같은 단백질이나
DNA
와 같은 생체 내 거대 분자의 탐지와 조작을 보여줬다. 이같은 응용은 열쇠가 특정 자물쇠에 들어맞듯이 나노튜브 끝에 붙여진 분자가 표면에 있는 특정 분자와 결합하기 때문에 가능하다.지금까지 설명한 SPM은 모두 ... ...
2 활용 : ① 반도체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
과학동아
l
200110
후에 반도체공정에 쓰일 수도 있다. 한가지 특기할만한 점은 나노펜 기술이
DNA
같은 생화학 물질을 위한 리소그래피로 쓰일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생명공학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사람들은 새로운 종류의 집적회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예를 들어 기존의 반도체칩에 생화학물질을 ... ...
여성이 남성보다 뛰어난 6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0109
통해 지난 역사동안 남성과 여성의 이주 속도를 각각 산출했다. 그 결과 미토콘드리아
DNA
치환속도가 Y염색체보다 훨씬 빨랐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만큼 이주가 빨라 새로운 염색체를 많이 받아들였다는 얘기다.물론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땅을 개척한 사람이 여성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 ...
기출문제 정복해 2학기 수시 노린다
과학동아
l
200109
유기화합물이나 물의 특성 등 통합교과적인 요소를 가진 주제를 잘 봐둬야 한다.생물은
DNA
에 담긴 유전정보가 RNA를 거쳐 아미노산 서열로 이어지기까지의 과정을 잘 알고 있어야 하며, 호흡∙광합성, 탄소순환, 각종 유전현상 등에 대해 점검해둬야한다. 생물학의 특성 상 광우병, 구제역, AIDS, ... ...
기생충이 암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0109
정제한 효소는 생체 밖에서 합성기능을 갖는다. 하지만 생체 내에서는 합성기능보다
DNA
말단 부위를 자르는 기능이 강하므로 그가 찾아낸 효소는 합성효소라기 보다는 절단효소라고 봐야 한다.피비거가 자신의 잘못을 판단하지도 못하고 세상을 떠난 것과 달리 오초아는 자신의 업적에 잘못이 ... ...
② 10만 단백질 군단 정체 규명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09
단백질 구조를 밝히는 데 유용하게 이용된다. 그런데 이런 일이 가능하려면 새로 얻은
DNA
정보와 유사한 부분을 엄청난 용량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찾고 이를 통해 단백질의 유형을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작업이 더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뤄질수 있게 해주는 분야가 생물정보학이다.무한대에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