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활
생계
생명
인생
목숨
생애
라이프
스페셜
"
삶
"(으)로 총 1,17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티븐 호킹 “인공지능 무기 개발 법으로 금지해야”
2015.07.29
000여 명의 서명이 담긴 서한이 27일(현지 시간) 공개됐다. 서한은 이들의 연구 모임인 ‘
삶
의 미래 연구소(Future of Life Institute·FLI)’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됐으며 1000여 명의 명단도 함께 공개됐다. 이들은 서한에서 ‘AI 자동화 무기’ 개발을 금지하자고 했다. 아직 존재하지 않는 AI 자동화 ... ...
가짜 배고픔에 지는 당신, 참아라!
KISTI
l
2015.07.21
여름을 앞두고 다이어트 돌입한 사람이 많다. 하지만 식욕은 마음처럼 줄지 않는다. 든든히 밥을 먹고 후식까지 챙겨먹었지만 세 시간도 채 지나지 않아 출출 ... 배고픔에 조금은 단호하게 대처해 보는 건 어떨까. 효과적인 체중감량은 물론 더 건강한
삶
을 사는데 분명 도움이 될 것이다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숙주와 미생물의 공생체라는)가 필요하다는 논의까지 있지만, 식물 역시 거주미생물과
삶
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즉 사실상 모든 식물에는 식물내생생물로 불리는 박테리아나 곰팡이가 거주하면서 식물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를 들어 도티 교수팀이 ... ...
생각은 다르지만 방향은 같은 한국, 일본 양국의 원자력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30
모든 것을 공유해야 한다. -이석준 미래창조과학부 차관- “원자력은 국민의 행복한
삶
을 위한 것” “Atom’s for People” 이제는 평화를 넘어 서로 공감하고 함께 하기 위한 “인류를 위한 원자력”이 되어야 한다. 안전성을 더욱 강화하고 국민과 소통하고 공감하는데 주력해야 한다. -조석,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발명해 미생물을 처음 본 안톤 반 레벤후크로 시작해 각 장 별로 미생물학자들의
삶
과 업적을 소개하고 있다. 이 가운데 로베르트 코흐의 이야기가 특히 감동적이다. 1866년 23세에 독일 괴팅겐대 의대를 졸업하고 시골에서 개업의로 바쁘게 지내던 코흐는 그러나 반복되는 일상에 무료함을 느끼고 ... ...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
2015.06.15
다룬 흥미로운 책이다. 저자는 1800~1949년 태어난 저명인사 1004명을 선정한 뒤 이들의
삶
을 추적해 정신건강과 창의성이 얼마나 관련이 있는가를 면밀히 분석했다. 그 결과 저명인사 가운데 예술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정신분열증이나 조울증 같은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꽤 높다는 사실을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많은 걸 생각하게 했다. 어떤 사람이 재능과 잠재력을 마음껏 발휘하면서 성취를 이루는
삶
을 살아간다는 게 그 사람의 노력만으로는 안 된다는 인생의 진리를 다시 한 번 깨닫게 했다. 이 자리에서 도네가와 교수의 글을 요약한다. 1939년 나고야에서 네 남매의 둘째로 태어난 도네가와는 ‘부모가 ... ...
바다가 품기엔 너무 벅찬 쓰레기
KISTI
l
2015.05.26
절연성을 갖추었으면서도 색과 모양을 가공하기 편리한 플라스틱은 삽시간에 인간의
삶
전반에 끼어들었다. 현재 플라스틱의 사용량은 1인당 연간 42kg에 달할 정도로 늘어났다. 모든 물건에는 사용 연한이 있기 마련이고, 제 역할을 다 한 뒤에는 버려지는 것이 당연한 일이다. 문제는 플라스틱의 ... ...
신뢰 회복을 위한 소통의 장 마련해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9
수급하려면 원자력발전소 건설이 필요하지만, 지역 주민의 입장에서는 발전소 건설이
삶
의 터전을 침해당하는 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사회 각계에서는 원자력에너지를 둘러싼 갈등과 우려를 해결하고 합의에 기반을 둔 정책을 구상하기 위한 노력들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2월 2 ... ...
바이오프린팅에 날개를 달아준 방사선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7
하니 그 미래를 예측하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이런 기술의 진보 덕분에 우리의
삶
이 좀 더 윤택하고 행복해질 거라는 것만은 분명하다. ※ 자료출처 :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 본 기사는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의 아톰스토리(http://atomstory.or.kr)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