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스페셜
"
교수
"(으)로 총 5,54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개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22
토목학회 ‘베스트논문상’을 수상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연구논문은 문효수 한양대
교수
를 비롯해 서울대 연구진과 남서울대, 단국대 연구진 등 여러 연구기관이 참여했다. 공공분야 건설사업 발주시 프로젝트 특성에 맞는 발주방식을 선정하고 시설물 준공 후 평가하는 데 있어 입찰단계에서 ... ...
WHO “더 위험한 코로나19 변이 등장할 이상적 조건”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2.02.21
“불난 집에 부채질을 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최재욱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도 "현재 확진자 수가 급증하는 가운데 방역 정책은 거꾸로 가고 있다"며 "정량적으로 보면 1시간이 매우 긴 시간은 아니지만 대중의 심리적 방역에 대한 기준이 확연히 달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 ...
신속항원검사 믿을수 있나…가짜음성 한계에도 환자 발견엔 효과
연합뉴스
l
2022.02.21
정확도를 높이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우주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는 "확진자 접촉한 경우라면 음성이 나와도 안심하지 말고 1∼2일 후나 증상이 나타난 후에 검사를 다시 해보는 것이 좋다"면서 "자가검사키트는 바이러스 배출량이 많아야 정확도가 높아지므로 검사 ... ...
모든 혈액형 이식 가능한 '장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1
바꾼 장기를 이식하는 첫 임상시험이 18개월 내로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시펠
교수
는 “현재 이식 체계는 혈액형에 따라 이식이 필요한 환자 대기시간이 상당히 길어질 수 있다”며 “모든 장기를 보편적인 O형으로 전환하면 장벽을 없앨 수 있다”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마뱀이 위급 시 꼬리를 빨리 자르는 비결은
동아사이언스
l
2022.02.20
"이 원리를 과학과 공학에 응용하면 매우 유용할 것이라는 확신이 든다"고 말했다. 가탁
교수
는 "특히 로봇 공학이나 스텔스 기술, 인체 임플란트 등에 활용될 수 있다"며 "예상치 못한 사고로부터 장치를 보호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가장 작은 일반상대성 이론 시험장
동아사이언스
l
2022.02.20
시간 기록과 탐색 외에도 많은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예
교수
는 “원자 시계가 양자 역학과 중력 사이의 미세한 연결을 보는 현미경과 우주의 가장 깊은 구석을 관찰하는 망원경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 시계를 사용하여 우주에서 물질 대부분을 구성하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온라인에서 타인의 삶을 망가뜨리는 사람들
2022.02.20
벌어진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의 에린 버클스
교수
는 '가학성(사디즘)'이 온라인 테러리스트들의 한 가지 중요한 특징일 것이라고 보았다. 가학성은 타인의 고통을 즐기는 것과 공감 부족이 한데 묶인 특성이다. 예컨대 상처받았거나 공격받고 있는 사람을 보고 ... ...
[과학게시판] UNIST 학위수여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18
작성자에게 수여하는 예봉우수논문상은 민한울 에너지화학공학과 대학원생(지도
교수
석상일)이 받았다. ■ 국립중앙과학관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와 복합과학체험랜드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대전시 대덕연구개발특구를 방문하는 ... ...
"한국 2030년 원전과 재생에너지 단가 역전 안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8
곽재원 가천대
교수
, 조성경 명지대 방목기초교육대
교수
,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가 패널토론에 참여했으며 노동석 전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정책연구본부장(맨 오른쪽)이 발표를 진행했다.유튜브 한국과총 채널 영상 캡처 ... ...
'어른들은 몰라요' 사각지대 놓인 어린이-청소년 코로나 장기 후유증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2.02.18
지속되는 경우 중 하나에 해당하면 장기 후유증을 겪는 것으로 분류한다. 스티븐슨
교수
는 “어린이나 청소년이 의료 전문가를 만나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연구용 정의뿐 아니라 임상적 정의 마련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어린이 장기 후유증 연구가 결실을 맺으려면 사회 전반에서 부모들의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