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뉴스
"
직접
"(으)로 총 7,97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GIST, 빛의 진동방향 조절하는 카이랄 발광 소재 최초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9
공동 업무협약을 진행했다. 국표원은 5년 주기로 인체치수조사를 시행해 그 결과로 인체
직접
측정치수, 3D 측정치수 등 방대한 한국인 인체표준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앞서 지난 4월 ‘고령자 대상 인체치수조사’를 발표한 바 있다. GIST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국표원이 조사한 고령자 인체치수조사를 ... ...
동물 고통 줄인다...약효 확인하는 생체 모방 '플라스틱칩' 개발돼
동아사이언스
l
2023.12.28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해당 칩을 통해 각 장기가 가진 질환이 해당 질환과
직접
적으로 관련돼있지 않은 다른 장기에 어떻게 간섭하는지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드리아나 타바레스 CVS 박사는 "5개 장기를 1개의 플라스틱칩에 연결해 신약이 환자의 전신에 어떤 영향을 ... ...
김치 등 발효식품, 사회불안장애 완화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3.12.28
뇌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장내미생물이 뇌의 사회적 기능을
직접
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앞선 연구에 따르면 사회불안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장내미생물 구성은 건강한 사람들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사회불안장애는 사회적 관계나 ... ...
일반인도 '로봇'에게 고난이도 작업 지시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27
줘 닦을 때 기존 목표값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연마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직접
적인 힘 제어 기능없이 위치 제어만 가능한 산업용 로봇에도 간단한 방식으로 로봇을 연결해 적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초보 사용자도 단 몇 분만에 로봇 티칭 작업을 개발할 수 있다"며 "티칭 결과가 ... ...
얇은 필름 쌓은 '풍선 실험실'로, 우주 감마선 정밀 포착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12.27
중에서 가장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파장이 매우 짧다. 워낙 짧은 파장이어서
직접
관찰하기 힘들기 때문에 천문물리학계는 감마선을 측정하기 위한 특수장비를 개발하는 등 보다 정밀한 측정 방법을 개발 중이다. 2021년 12월 연구팀은 풍선 망원경(balloon-borne telescope)을 성층권에 띄워 1 ... ...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한 지석영
2023.12.24
서기부사과의 직책을 맡은 정부측 인사였다. 박영선을 통해 우두법을 알게 된 지석영은
직접
수신사를 따라 일본에 가서 일본인 의사에게 우두법을 배워오기도 했다. 이러한 사례는 지석영이 정부의 우두법 보급 네트워크 안에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지석영은 1885년 충청도의 ... ...
성탄절에 '음경 골절' 위험 증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24
외도나 비일상적인 장소에서의 관계, 격렬함 등과 연관을 보인다”며 “상대방의 눈을
직접
마주 보지 않는 체위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중년에 가까워질수록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커플들은 부상 위험성을 인식하고, 연말 분위기에 격양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 ...
[주말N수학] 공정하다는 착각! 동전 던지기
수학동아
l
2023.12.23
몇 번을 회전하는지 등의 변수를 찾아내 D-H-M 모형을 만들었다. 이를 위해 동전에
직접
치실을 붙이고 고속 카메라로 관찰했다. 당시 촬영 기술이 발달하지 않아 동전이 얼마나 뒤집히고 흔들리는지 또 얼마나 높이 올라가는지 잘 파악하기 위해서였다. 심지어 이 모형에 따라 원하는 결과를 얻을 ... ...
우주쓰레기 태우는 게 최선일까…"금속 에어로졸 영향 고려해야"
과학동아
l
2023.12.23
쌓여왔다. 지구 궤도에 쌓인 우주 쓰레기는 운행 중인 인공위성의 전파를 간섭하거나
직접
적인 손상을 입히기도 한다. “우주 쓰레기는 실생활에도 큰 문제를 일으키죠.” 정유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 선임연구원은 우주 쓰레기가 우주만의 문제가 아닌 이유를 ... ...
[과찬의 말씀] 인공 뇌 새 지평 연 과학자…"실험실 떠나 상용화 이루겠다"
2023.12.22
수천만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공대 전공을 선택" 예전에 한 의대 교수님이
직접
해주신 말이 기억나는데요. 의사로서 본인은 은퇴 전까지 많아야 몇 만 명의 환자를 치료할 수 있지만, 생명공학자로서 좋은 재생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면 수백만 명, 수천만 명 이상의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