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뉴스
"
안정
"(으)로 총 5,462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NOON 양자얽힘' 구현…양자센싱·통신 응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신희득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왼쪽)와 이동진 박사. 포스텍 제공. 양자 과학 분야 핵심기술인 ‘NOON 양자얽힘’이 새로운 형태로 구현됐다. ... 이 박사는 “단일 경로에 두 주파수를 가지는 특이성으로 인해 기존에 볼 수 없던 높은
안정
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연구의 의의를 전달했다 ... ...
[人투더스페이스]⑦ "우주기업 도전 여건 충분…실패 용인 프로그램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위한 시험발사에서 106초간 엔진 연소 후 4분 33초 동안 비행했다. 엔진 정상 작동과 추력
안정
성 유지도 확인됐다. 국내 최초 민간 우주발사체가 발사에 성공한 순간이었다. 이노스페이스는 국내 민간기업으로는 엄두를 내기 어려웠던 2017년 창업됐다. 우주발사체 개발에 도전장을 내며 창업한 지 ... ...
전기차 화재 위험 낮춘다…내구성 확 높인 알루미늄 합금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통해 새로운 나노구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이를 기반으로 몇 개의 원소가 열
안정
성을 향상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렇게 열적 내구성 향상 기술이 적용된 알루미늄 합금은 전기차 배터리 외장재나 초음속 항공기 구조재료 분야 등 고온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하는 부품에서 우수한 ... ...
"장내 미생물 분비 물질이 장 건강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항상성은 생물이 최적 조건에서 벗어나는 변화를 최소화하고
안정
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을 가리킨다.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 중 하나인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아커만시아)가 분비하는 단백질 'Amuc_1409'가 장 줄기세포의 재생 능력을 조절해 장이 항상성을 유지하는 ... ...
[과기원NOW] KAIST, 자바스크립트 생태계
안정
성 보장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07
친화적인 형태인 기계화 명세를 자동으로 추출해 이를 기반으로 자바스크립트 생태계
안정
성을 보장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물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SW)로 개발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다. 관련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CM 통신'에 지난달 24일 온라인 게재됐다 ... ...
쓰지 않은 약 나올까…서서히 베일 벗는 '맛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5.06
단백질을 분리해내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세포막에서 분리해낼 때 단백질은 불
안정
해지기 쉬워 본래의 형태가 망가지고 뭉치는 경우가 많다. 쓴 맛 수용체도 예외는 아니었다. 세포막 단백질의 구조를 규명하고 정제하는 기술들이 발전하면서 이러한 난관을 넘을 수 있었다. 세포실험, ... ...
주문진 국지성호우 예측한 강릉 기상레이더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4.05.05
동풍이 백두대간을 타고 빠르게 상승하고 고온 건조한 기류와 충돌해 대기가 불
안정
해지면서 폭우 등 위험기상이 나타난다. 김 센터장은 "강릉 기상레이더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전국 기상레이더 10개를 2세대 레이더인 '단일편파레이더'에서 3세대 '이중편파레이더'로 교체한 마지막 타자"라고 ... ...
中, 꿈의 '상온 초전도체' 찾는 연구시설 본격 가동
2024.05.05
낸다. 저우 연구원은 "SECUF의 자석은 훨씬 적은 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최대 한 달 동안
안정
적으로 자기장을 유지할 수 있다"며 "연구자들은 동일한 샘플로 더 긴 시간 동안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IOP 소속이 아닌 중국의 연구자들도 SECUF에서 여러 기기를 사용해 연구하고 있다. 광한 ... ...
충전 없이 수십년 쓰는 반영구 베타전지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02
전력을 생산했다. 2020년에 연구팀이 개발한 베타전지와 비교해 전력변환효율은 6배,
안정
성은 10배 상승했다. 연구팀은 "베타전지 분야에서 새로운 구조와 방사선 흡수체 재료 다양성을 제시했다"며 "베타전지 성능은 상용화를 진행하기에 아직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인수일 교수는 "비싼 반도체 ... ...
G7 '2035년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합의
동아사이언스
l
2024.05.01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석탄발전은 감소 추세지만 에너지 위기에 따른 ‘단기
안정
성 활용’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정부는 아직 석탄발전소 폐지를 검토하고 있지는 않지만 이번 G7의 결정으로 석탄 감축 및 폐지, 청정에너지 활용 가속화 등을 둔 논의에 속도를 낼 가능성이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