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레이저"(으)로 총 1,082건 검색되었습니다.
- 메뚜기 로켓, 정확히 자기 자리로 돌아오네…‘로켓 공학의 혁신’동아닷컴 l2013.10.21
- 3개 발사센터 운영 - ‘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결국 ‘우주관광객’? - 우주로 쏜 레이저, 별빛 사이로 ‘번쩍’…이유는?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다차원 분광학 분야서 독보적 성과동아일보 l2013.10.21
- 분광학 분야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그는 펨토초(1000조 분의 1초) 단위의 초고속 레이저를 이용해 생체분자의 3차원 입체 구조와 변화를 분석, 관찰하는 데 유용한 계산법을 연구개발했다. 또 그는 광합성 단백질에서의 에너지 전달 현상과 광학 이성질체(異性質體·같은 원소와 같은 수의 ... ...
- [클리닉 리포트]청춘의 심벌 여드름… 스트레스땐 더 악화동아일보 l2013.10.21
- 치료와 함께 기구를 이용해 여드름을 짜내기도 한다. 여드름 흉터를 치료하기 위해서 레이저 시술 및 화학박피술 등 특수치료를 활용한다. 사춘기는 외적인 이미지뿐만 아니라 성격이 만들어지는 시기다. 따라서 청춘의 상징이라고 그냥 내버려둬도 안 되고 마구 짜내서도 안 된다. 의학적으로 보면 ... ...
- 차세대 총천연색 디스플레이 상업화 길 열었다동아사이언스 l2013.10.18
- “이번 연구를 통해 양자점 LED 기반의 차세대 총천연색 디스플레이, 고효율 조명 또는 레이저 등을 상용화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학회에서 발행하는 나노 분야 권위지 ‘ACS Nano’에 지난달 실렸다 ... ...
- 5억 2000만 년 전 바다 전갈의 신경계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3.10.16
- 컴퓨터 단층촬영 기법으로 개략적인 윤곽선을 그린 후, 화학적 성분비를 측정하는 레이저 스캔으로 철 성분을 포착해 메가체이란의 신경계를 재구성했다. 연구팀을 이끈 미국 애리조나대 신경과학과 니콜라스 스트라우스펠트 교수는 “메가체이란의 신경계가 오늘날 전갈, 투구게와 유사했다 ... ...
- 토종 과학자, 中 명문대 교수로 채용됐다동아사이언스 l2013.10.01
- 있다. 안 교수는 고려대에서 학부를 마치고, KAIST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레이저나 초음파를 이용해 건축물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내부 손상을 연구하는 ‘비파괴 검사’ 분야 전문가로, 그간 10여 편의 과학기술인용색인(SCI)급 저널에 논문을 발표하고 4건의 특허를 획득했다. 또 ... ...
- 지구를 넘어 화성에서 살 날 곧 다가온다동아사이언스 l2013.09.29
- 레이저, 분광사진기, 망원경 등으로 구성된 화학카메라 ‘ChemCam’은 암석에 적외선 레이저를 쏴 발생하는 불꽃을 촬영해 성분을 파악하고, 방사선 측정 검출기 ‘RAD’는 화성의 방사능 수치를 측정한다. 이 밖에도 큐리오시티에는 중성자 반사도를 측정하는 ‘DAN’과 환경 모니터링 장비인 ... ...
- 삼성-애플 스마트폰 ‘금빛 전쟁’동아일보 l2013.09.27
- 끌었다. 모토로라도 2008년 제품 로고와 일부 키에 18K 골드 도금으로 포인트를 준 ‘레이저 스퀘어드 럭셔리 에디션’을 출시하기도 했다. 김지현·정지영 기자 jhk85@donga.com [화제의 뉴스] - 68세 청년 작가 최인호 ‘별들의 고향’으로 떠나다 - 경찰, 경기 하남시 여고생 살해 용의자 체포 - 전두환 일가 ... ...
- 귀성길 운전 피곤하세요? 그럼 주무세요!동아사이언스 l2013.09.17
- 기술이다. ‘인식’은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 무인자동차 지붕에 탑재된 3차원 레이저 레이더 ‘라이더(LIDAR)’는 초당 10회 정도 360도로 회전하면서 사방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 차량 내부에 달린 카메라 장치는 신호등 색깔 변화나 구급차 사이렌 소리를 인식하기도 한다. 교통 정보 ... ...
- [신나는 공부]“의료기기 개발 넘어 인간한계 넘는 ‘아이언맨’ 비행슈트까지”동아일보 l2013.09.10
- 할 수 있는 일이 많다”고 말했다. 실제로 김 교수는 의사가 제모가 필요한 부위를 레이저 치료기를 들고 수작업으로 시술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관찰해 컴퓨터가 센서를 활용해 파악한 제모 부위를 로봇 팔이 자동으로 제모해주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의공학 분야는 현재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