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근
이웃
주변
인근
주위
언저리
인접
뉴스
"
근처
"(으)로 총 1,096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행성 2008TC3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수단 상공에서 대기권으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자들은 마침 그 시간대에
근처
를 지나가게 될 요하네스버그발 암스테르담행 항공기 KLM592편의 기장에게 이 소식을 알리고 관측을 부탁했다. 기장 론 드 포터는 5시 45분 40초에 서너 차례 짧은 섬광을 봤다고 보고했다. 그리고 기상위성 ... ...
[채널 A] 29일 새벽 금세기 최대 ‘혜성 우주쇼’…천문학계 흥분
채널A
l
2013.11.29
강렬한 태양빛에 가려 혜성을 관측하기 어렵지만 12월부터는 동트기 전 북동쪽 지평선
근처
에서 쌍안경을 이용해 아이손을 볼 수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culture/3/04/20131128/59216731/1 ... ...
37억 광년 우주 폭발 관측, “만약 지구
근처
에서 터졌으면?”
동아닷컴
l
2013.11.27
전해져 시선을 사로잡았다. ‘37억 광년 우주 폭발 관측’ 사진을 본 네티즌들은 “지구
근처
에서 터졌으면?”, “상상도 하기 싫다”, “우주에서 일어나는 일을 바로 알 수가 없으니” 등의 반응을 보였다. 동아닷컴 도깨비뉴스 장경국 기자 lovewith@donga.com 트위터 @love2with [화제의 뉴스] - 런던 ... ...
엇갈린 우주 생명체 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13.11.22
화성 전체를 탐사하지는 않기 때문에 큐리오시티의 주요 활동 무대인 게일 분화구
근처
에서 메탄을 찾지 못했다고 해서 화성에 생명체가 없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서는 프로필렌이 검출됐다.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가 이번에 발견한 프로필렌 농도는 2~3ppb(100 ... ...
아이손 혜성은 왜 녹색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21
좋은 날 새벽에 하늘을 찾아봐야 간신히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아이손 혜성은 스피카
근처
에 있어서 찾기는 쉽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제 달이 혜성에 다가가고 있다. 북두칠성의 국자 손잡이가 휘어진 방향으로 부드럽게 가다가 첫 번째로 만나는 것이 목동자리의 1등성 아크투루스이고, 그 ‘눈 ... ...
[채널A]과학기술위성 3호 등 국산위성 4기 러시아서 발사
채널A
l
2013.11.21
[인터뷰: 진호/경희대 우주과학과 교수] 하나는 입자를 검출하는 게 있고요, 지구
근처
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게 있습니다. 지금 마침 태양 활동이 일어나고 있는 시점이어서 저희가 이런 것들을 바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걸로 기대됩니다. 우리 위성 4기를 포함해 17개국에서 제작한 위성 23기가 ... ...
"세계 수준의 천문우주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겠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9
11월 16일 새벽에 아이손 공개 관측 행사를 진행한 바 있다. 만약 아이손 혜성이 태양
근처
를 지난 후에도 살아남는다면 12월 초순경부터 아이손을 다시 볼 수 있다. 과학동아 천문대에서는 이후에도 아이손 관측행사를 계속 이어갈 계획이다. 또한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에서도 12월 7~8일, 1박 ... ...
아이손 이번에 못보셨다구요? 그럼 '12월에 다시'
동아사이언스
l
2013.11.17
주말 새벽 잠을 참아가며 우주쇼를 기대했던 사람들은 혜성이 태양을 돌아 지구 궤도
근처
를 지나가는 다음달 말까지 관측 기회를 미룰 수밖에 없게 됐다. 아이손 혜성은 지난해 9월 국제 천문 연구그룹 ‘아이손’이 40cm 망원경을 이용해 발견한 혜성이다. 지난달 초 화성 궤도를 지나 17일 현재 ... ...
11월의 아이손, 나도 한번 찍어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15
돌아서 왼쪽 위로 빠져나가게 된다.-안상현 박사제공 고정 촬영으로 얻은 오리온자리
근처
사진(왼쪽)과 일주 사진(오른쪽). 연속적인 고정촬영 기법으로 북극성 주변의 별들을 찍은 다음 그 파일을 합성한 것이다. 오른쪽 일주 사진에서 녹색 불빛은 연구용 레이저 불빛. 아래의 물체는 세종대왕 때 ... ...
충돌 직전 쌍둥이 블랙홀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3.11.12
8.4미터 거대망원경과 허블우주망원경 자료를 분석해 쌍둥이 블랙홀을 찾아냈다. 블랙홀
근처
의 가스 운동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쌍둥이 블랙홀의 존재와 위치를 알아냈다. 지구로부터 45억 광년 떨어져 있는 이 쌍둥이 블랙홀 사이의 거리는 2600광년으로 분석됐다. 관측에 이용된 유럽남천문대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