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대
큼
과대
다대
웅대
막대
뉴스
"
거대
"(으)로 총 1,474건 검색되었습니다.
중성미자 결맞음 상호작용, 드디어 관측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04
소형 탐지기를 이용했다. 일반적으로 중성미자를 관측할 때 사용하는 탐지기는 크기가
거대
해 중성자와 핵자가 상호작용하는 작은 현상을 관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양성자가 수은 표적을 때리는 순간을 이용해 파동이 증폭되는 결맞음 상호작용을 관측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우주의 생성 ... ...
은하 회전 속도 차이 나는 이유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08.03
빨려 들어가며 각운동량을 잃는 과정에서 별이 탄생했다. 만약 초신성 폭발이나 항성풍,
거대
질량 블랙홀로 인해 은하 중심부의 가스가 유출되면 별 탄생이 조기에 중단됐다. 반면 나선 은하는 초기 형성 과정에서 가스가 각운동량을 보존하며 우주 나이만큼 오랫동안 꾸준히 별을 만들었다. 기존에 ... ...
숲에서 사람을 쫓아오는
거대
곰
팝뉴스
l
2017.08.03
있다. 고요하고 아름다운 곳이었다. 그런데 앞에 그리즐리 베어(회색곰)이 나타났다.
거대
한 크기였다. 어미 한 마리와 두 마리의 새끼였다. 어미는 신경이 날카로워질 수도 이다. 사람을 향해 다가온다. 느낌이 어떨까? 죽음의 공포를 느끼지 않을까? 지난달 31일 유튜브에 공개된 영상은 미국 ... ...
파리 센강에 나타난
거대
한 고래
팝뉴스
l
2017.07.27
이래 스페인 발렌시아, 네덜란드 스케브닝겐, 벨기에 오스텐드와 앤트워프 등에도 이런
거대
고래 모형을 설치했다. 과학자 차림을 한 사람도 설치 작품의 일부가 되어 상황과 의미를 설명해준다. 인간이 동물 등 환경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사유하는 계기를 제공하는 것이 설치 미술 작품의 ... ...
“국가 R&D 사업, ‘선택과 집중’ 위해 재정비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7.07.25
대해 예산 축소를 검토할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현재 과기정통부가 추진 중인
거대
공공연구에는 한국형발사체(KSLV-Ⅱ) 개발 등 항공우주 분야와 중이온가속기 같은 연구 인프라 분야, 국제열핵융합실험로(ITER) 등 핵융합에너지 분야 등이 있다. 유 장관은 현행 1년 이상이 소요되는 국가 R ... ...
소를 물고 가는 초대형 악어 촬영
팝뉴스
l
2017.07.25
악어가 소를 입에 물고 헤엄치고 있었다. 소가 작은 동물처럼 보일 정도로 악어는
거대
했다. 악어는 땅위에서 소를 사냥한 후 은신처로 향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놀라운 장면은 드론으로 촬영되었는데 악어는 먹이를 물고 물속으로 들어가버린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 ...
사할린 해변의 미스터리
거대
사체
팝뉴스
l
2017.07.22
영상은 최근 러시아 사할린의 사이보 만에서 촬영되었다. 지역 주민들은 바닷가에서
거대
한 동물 뼈를 발견하고는 굉장히 놀랐다고 한다. 또 곰들이 이 사체를 뜯어먹기 위해 몰려들어 사람으로서는 공포의 분위기가 연출되었다는 한다. 합리적으로 다른 바다 괴물일 가능성을 배제한다면 ... ...
중국의 우주 굴기, 국제 협력·상업화로 이어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9
유인 화성탐사 위해 국제협력·개방 확대 중국의 우주개발은 강력한 정책적 지원과
거대
자본 투자를 아끼지 않는 중국 정부를 중심으로 한 산·학·연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성장해 왔다. 덕분에 현재까지 발사된 중국의 우주 발사체와 인공위성 중 90% 이상은 중국의 항공우주개발기구인 ... ...
사람 크기 물고기를 낚은 여자
팝뉴스
l
2017.07.18
유명했던 그녀는 지금은 자연을 사랑하는 여행가가 되었다고 소개한다. 한편 화제의
거대
물고기는 ‘그루퍼’의 일종인 것으로 보인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 ...
우주 최강 생명체 ‘물곰’ 죽이는 3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7.14
첫 번째는 소행성이 충돌하는 경우다. 지구의 해양을 끓게 만들려면 200경㎏에 달하는
거대
소행성이 지구에 직접 충돌해야 한다. 이는 지구 질량의 300만 분의 1에 해당한다. 전 우주에 이 조건에 해당하는 소행성은 12개 뿐. 하지만 지구의 궤도를 관통할 수 있는 소행성은 단 한개도 발견되지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