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역할"(으)로 총 1,31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수달연구센터 방문기포스팅 l20161202
- 수달의 대변냄새는 생선 비린냄새가 나고 생선가시가 많이 보였습니다. 이곳을 방문하고 나서 저는 수달이 핵심종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물인지 처음 알게 되었고, 수달에 대해 많은 것을 공부할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앞으로 수달을 더욱 사랑하고 아끼며, 이러한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위해 자연환경을 보호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
- 눈물은 왜 흘릴까?기사 l20161202
- 있습니다. 또, 이 눈물이 있기 때문에 눈꺼풀과의 마찰도 줄여 주고 안구 운동도 부드럽게 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이 눈물의 역할은 바로 눈에 영양을 공급한다는 것입니다. 눈에는 혈관이 없기 때문에 호흡한 산소를 얻을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공기 중의 산소를 눈물에 녹여 직접 눈에 흡수시킵니다. 두 번째 '반사적 눈물'은 양파나 파 ...
- 날름날름 혀에 과학이 산다!기사 l20161130
- 중 침에 녹은 물질이 맛봉오리를 자극해서 생기는 감각을 미각(taste)이라 합니다. 2) 음식물을 섭취하여 씹고 섞고 삼킬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래턱의 운동과 치아의 작용, 볼, 입술과 혀는 함께 작용하여 음식을 침과 섞고 골고루 씹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3) 입 안에서 소리를 만드는 구음 작용을 합니다. 모음에서는 구강이 공명강이 ...
- 해리포터 좋아하시는분 보시오!포스팅 l20161127
- 교수로 일하게 되요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에서 나온 트롤 트롤은 사실 해리포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어요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에서 해리와 론이 트롤이 나타났다는 사실을 듣고 헤르미온느를 구하러 가죠 이 사건 이후로 본격적인 삼총사의 우정이 시작되요 해리포터 스핀오프 ...
- 바다의 유니콘, 일각돌고래기사 l20161119
- 하지만 더욱더 대단한 사실이 하나 더 남아있어요! 일각돌고래는 먹이를 잡기 위해 수심 1,000m까지 들어가서 훌륭한 안테나 역할을 하는 이빨로 먹이를 찾아 먹이를 잡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잠깐! 잠수부는 수심 1,000m까지 내려가면 수압으로 인해 몸이 으스러져서 죽습니다. 그런데 일각돌고래는 왜 죽지 않고 유유하게 헤엄칠 수 있을까 ...
- 털 한 가닥이 90cm까지 긴 털매머드 탐사기사 l20161113
- 이빨을 들어보니 아주 묵직했다. 이빨만 봐도 몸집이 컸다는게 짐작이 갔다. 이번에는 상아에 대해 설명하겠다. 상아의 역할은 세 가지다. 첫째, 긴 상아로 눈을 치워 길을 만든다. 둘째, 먹이를 찾는다. 셋째, 싸운다. 또한 상아의 크기로 암수를 구분한다. 상아가 짧고 작으면 암컷이고 크고 길면 수컷이다. 가장 긴 상아는 4m가 넘고 80k ...
- 2016년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에서 배운 3D프린팅기사 l20161105
- 부분이나 맨 윗부분으로 꼬챙이를 통과시켜야 합니다. 그리고 꼬챙이에 묻힌 바셀린은 구멍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막아 주는 역할을 합니다. 점점 시간이 지나니 바람이 빠지기는 하였습니다. 그 다음은 젤리 맛 테스트를 했습니다. 먼저, 제가 3가지 젤리의 맛을 본 다음에 그 맛을 젤리의 색깔과 같이 보드에 씁니다. 그 다음 눈가리개를 ...
- 마인크래프트의 탄생기사 l20161103
- 혼자 플레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유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쉽게 얘기하면 누군가의 강요가 전혀 없습니다. 특히 반도체 회로 역할을 하고 있는 '레드스톤'은 유저가 마인크래프트 세상에서 할 수 있는 일을 엄청나게 늘려주는 것들 중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레드스톤이 할 수 있는 걸 예를 들자면, 문이 열리는 스위치, 엘레베이터 ...
- 미호종개의 마지막 서식지탐사기록 l20161026
- 미호종개나 비슷한 미꾸리과 어류는 눈밑에 안하극이라는 가시가 있습니다. 모래속에 파고 들거나 천적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행히 잡았을 때 살짝 찔리는 정도입니다^^발견 당시 미호천 어디든지 서식하였고 흔한 피라미와 함께 미호천에서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하지만 골재 채취, 공장 및 축산폐수 등등 많이 사라지고미호천 본류는 사라지고 금 ...
- 피의 색깔은 다 빨간 색일까?기사 l20161025
- 등이라고 합니다. 왜냐하면 연체동물의 피속에는 적혈구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적혈구는 우리 몸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면 연체동물은 산소 없이도 살 수 있는 걸까요? 그건 아닙니다. 그저 우리와 몸의 구조가 다를 뿐입니다. 곤충의 일부는 피에 마그네슘이 포함돼어 있기 때문에 피가 무색입니다. 사마귀의 경우는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