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시대"(으)로 총 1,8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와라 가제트 팔~~!! 로봇이 존재한다면???기사 l20180330
- 안녕하세요, 박재욱 기자입니다. 제가 서울대 공대 연구팀이 개발한 '드론 로봇팔(가제트 로봇 팔)'에 대해 알아왔습니다. 그럼, 우리 함께 정리해보아요. 일단 로봇팔의 생김새는 이렇습니다. 형사 ... 비해서 많겠지만 그래두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그럼, 제 로봇 팔과 가제트 로봇 팔을 비교하러 고고~~ 제 로봇 팔입니다.(완전한 시대 ...
- 인물한국사포스팅 l20180322
- 작은 사람까지 합쳐서 1, 2권을 비교를 해 봤습니다.그런데 1권은 평화로운 것 같고, 2권은 반란 또는 전쟁이 일어난 것 같은 느낌이 옵니다.그건 시대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1권은 고대 라는데요.단군~대조영 까지 나와 있습니다.2권은 고려 라고 합니다.견훤~최무선 까지 입니다. 이상입니다 ... ...
- 구석기 유적지를 소개합니다. (2탄) - 연천 전곡리 유적지와 박물관기사 l20180318
- 점은? 구석기 시대의 사람들은 음식들이 많이 없어서 사냥이나 채집을 하는 게 힘들었을 것 같다. 사냥을 하다 죽을 수도 있어서 그 시대 사람들은 힘들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살아남았다는 것이 신기했고 대단했다고 생각이 든다. 옛날 사람들은 지금보다 예술적 감각이 뛰어나서 부러웠습니다. ... ...
- 암호 이야기기사 l20180317
- 처음 만들어졌습니다. 작전을 멀리 있는 군대에게 알려줄 때, 적군이 모르게 하려고 암호를 만들었습니다. 최초의 암호는 스파르타 시대의 스키탈레 암호입니다. 스키탈레 암호는 종이나 얇은 천을 길게 잘라서 나무막대에 감은 다음에, 그 위에 글자를 쓰는데 다시 읽으려면 똑같은 굵기의 나무막대가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암호를 적은 종이가 적군의 손에 ...
- 추억의 종이 뽑기포스팅 l20180316
- 안녕하세요 제가 서울 신도림초인데 신미림초 크로바뭄구점 까지가서 종이뽑기를 했어요.과연 무엇이나왔을까요???두구두구두구네. 여러분이 예상하신대로 급붕어입니다 위에사진입니다확률0.1에 당첨됐어요축하해주세요여러분도 추억의 종이뽑기를 해보면서엄마.아빠 시대의 재미를 느껴보세요.적극추천드립니다. 그럼 다음에 찾아뵐게욥. 모두ㅂㅇㄹ~~! ...
- 구석기 유적지를 소개합니다. (1탄) - 공주 석장리 박물관기사 l20180309
- 연구자들의 노력에 의해 우리나라의 역사는 몇 천 년에서 만 년 전으로 바꾸었습니다. 저는 이 석장리 박물관을 다녀온 이후 구석기 시대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번 주에 전곡리 선사박물관을 다녀올 계획이랍니다. 전곡리 선사박물관에서 보고 들은 내용들을 또 소개하겠습니다. ... ...
- 축구의 역사와 축구 잘 하는 법기사 l20180225
- 역사에 대해 설명을 해 드리겠습니다. 축구가 언제 어디서 발상되었는지는 많은 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6~7세기경 고대 그리스시대에 행해진 하파스톤(harpaston)이라고 하는 경기에서 비롯되었다는 것과, 중국이 그리스보다 축구를 먼저 시작했다는 것이 있는데 이는 직접적으로 현대 축구와 연결되었다고 보기에 부족한 점이 있는 것으로 여겨집 ...
- 암행어사에 상징은 마패가 아니다?기사 l20180225
- 마패가 떠오르지 않습니까? 하지만 암행어사에 상징은 마패가 아닙니다. 일단 암행어사가 뭔지부터 알아봅시다. 암행어사는 조선 시대에 임금이 친히 뽑은 임시 벼슬로 , 수의 또는 직지라고도 불렸습니다. 비밀리에 지방을 돌아보며 지방관의 잘잘못을 가리고 백성의 고통과 불편을 살펴 임금에게 보고했습니다. 조선 초기에는 반대가 있어 잘 시행되지 못하다가 ...
- 미륵사지 서탑기사 l20180217
- 다녀왔습니다. 여러분들이 왜 복원이 오래 걸렸는지 궁금해하셔서 그 궁금증도 풀어 드리려고 합니다. 미륵사지 서탑은 백제 무왕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14.2m로 가장 큰 탑입니다. 국보 제 11호로 지정되어 있죠. 위쪽에서 보시는 사진은 보수된 미륵사지 서탑입니다. 미륵사지 석탑은 두 탑으로 나뉘는데요, 그 중에 이번에 보수된 탑은 서탑입니다. ...
- 이지유 작가님과 함께하는 미술관 탐방기기사 l20180211
- 전에 한 번도 가본 적이 없습니다. 미술관에서 작가님과 만나게 된 이유는 마침 전시 중이었던 이라는 기획 전시를 이지유 작가님이 저와 함께 보자고 제안하셨기 때문입니다. 대전 출신의 초창기 미술 작가들이 그린 여러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었는데, 많은 작품들에 ‘제목없음’을 뜻하는 ‘무제’, ‘Untitle’이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