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공기"(으)로 총 1,537건 검색되었습니다.
- [UN 청소년 환경 총회 2019] 우리는 MUNer, 총회는 끝났어도 실천은 이제 시작. 나의 작은 실천으로 세상을 바꾸자!기사 l20191125
- 또 사용됩니다. 이를 위해 엄청난 에너지를 사용합니다만, 이것은 해결을 위한 에너지 사용인가요? 해결을 하는 것이 아니라, 아주 공기가 나쁠 때 나를 잠시 도와줄 수는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은 무엇일까요? 바로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이런 공장이나 생산을 줄이고 물건을 조금 사며 미세먼지 자체를 저감시켜야하는데, 저감시키는 노력은 ...
- 식물이 우리에게 주는 이로움기사 l20191123
- 식물은 약의 재료로 쓰이기도 합니다. 인삼 같은 것이 그 예이죠. 장식을 할 때에도 식물이 사용됩니다. 식물은 우리에게 맑은 공기를 주고 여러 가지 편리한 도구들을 제공해 주고 또 산사태랑 눈사태를 막을 수 있고 홍수나 가뭄의 발생을 줄여줍니다 ... ...
-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에서 물 맞은 나!기사 l20191103
- 대해 설명을 들었어요. 브레이크, 네비게이션, 핸들 등등 차의 기능에 대해 설명을 들었어요. 설명을 듣고 나와서 생각해보니 만약 공기가 오염되지 않고 우리가 필요하지 않은 것이 연료였다면 어떤 세상이 왔을까요? 아마도 깨끗한 세상이 오지 않을까요? 마지막으로 음료수를 따라주는 로봇과 사진을 찍었어요. 더 보고 싶었지만 기자단 체험은 끝이 났 ...
- 이중인격 목소리기사 l20191102
- 골전도라고 합니다. 타인이 듣는 목소리와 녹음된 목소리는 공기전도, 자신이 듣는 소리는 골전도+공기전도인 것입니다. 골전도는 공기전도보다 잡음이 적고 낮은 주파수로 전달되어 녹음된 소리가 어색한 것이죠. 그렇다면 나의 진짜 목소리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기준이 누구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나만이 듣는 목소리가 내 ...
- 지난 여름방학 때 서울대학교 김준 연구원님의 한국 선충 강연 및 연구실 견학탐사기록 l20191027
- 줄 알았는데, 정말 다양한 종류의 선충들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선충이 지렁이와 다른 점은 주름이 없다는 것이고, 공기가 없거나 극한 지역에서도 선충을 많이 살고 있다는 것에 생명의 신비로움을 느꼈다. 연구원님께서 선충은 수명이 60일 정도이고 키우기도 쉬워서, 여러 대를 거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확인해야하는 유전공학 실 ...
- 세계 최초 휴대용 수력발전기~!! 를 소개합니다!기사 l20191021
- 수거해서 설치를 해주신다고 하셨습니다. 설치할 때는 이노마드를 물에 푹 잠기게 해야 합니다. 완전히 잠기지 않으면 공기가 흐르는 속도와 물속에서 흐르던 속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날개가 잘 돌지 않습니다. 설치는 회사 관련자 분이 해주셨는데 원래는 청계천에 들어가면 안되기 때문에 서울시에서 허가를 받았습니다. 이노마드를 설치하시다가 ...
- 트릭아이 홍대점을 다녀와서!기사 l20191019
- 것 같아요.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다음은 세 번째 방으로 가는 복도에도 공기를 마셔 뚱뚱해진 모나리자, 상체는 우리몸이고 하체는 가짠데 우리가 쭈그리고 있는 것 같은 공간 등이 있었어요. 세 번째 방에는 신사와 발레단과 여인 등이 있었어요. 네 번째 방에는 쉬를 싸고 있는 아이, 뱀이 배 ...
- 섭섭박사님과 함께한 이노마드 우노 만들기체험~기사 l20191017
- 여러 가지의 이노마드 우노를 설치하였습니다. 실험용1번이잘작동하지않았는데 그이유는 공기와 물의 밀도 차이였기 때문입니다. 공기 중의 밀도와 물의 밀도를 비교하여보자면 물의 밀도가 크기 때문에 잘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었습니다. 이렇게 열심히 만든 이노마드 우노 배터리로 재 핸드폰을 충전시켜보았고 마지막에는 어린이 과학동 ...
- 먹닷거미 인가요?탐사기록 l20191016
- 먹닷거미가 맞을까요?거미생태도감에 나온 먹닷거미와 굉장히 흡사한데 발견 지역이 충남 천안 태학산에서 잡아서요......도감에는 분명히 경기도,여서도 부근이라고 나와있는데 왜 여기에서 보일까요?물속에서 공기막으로 숨쉬는게 분명히 [Dolomedes]속인데 도대체 누구 일까요? ...
- 캐나다 탐험대(오로라) 여행기-2기사 l20191007
- 쉽게 잠에 들지 못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된 아주 뜨거운 대전자입자(플라즈마)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로 진입하면서 공기 분자와 반응하여 빛을 내는 지구와의 상호작용 현상이다. 오로라는 구름이 많이 끼면 볼 수 없기에 하늘이 도와주어야만 볼 수 있는 귀한 신기한 현상이다. 오로라는 볼 수 있는 지역이 한정되어 있기에 잘 보지 못한다.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